[기획] 충청광역연합 체력 점검
■ 글 싣는 순서
1. 인구 증가 ‘정중동’
2. 특화 기술업종 분포
3. 후퇴하는 의료 인프라

1. 인구 증가 ‘정중동’
세종·충남 소폭 늘고 대전·충북 크게 줄어
4곳 모두 고령화 사회… 증가 유인책 필요
“지역소멸 직결… 규모의 경제 실현 조건”

대전,세종,충남,충북. 사진=각 시도청 제공. 
대전,세종,충남,충북. 사진=각 시도청 제공. 

[충청투데이 김영재 기자] 대전, 세종, 충북, 충남 등 충청권 4새 시·도가 지방분권 실현과 지역균형발전을 목표로 수도권 집중화와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설립한 충청광역연합이 지난달 18일 공식 출범했다. 2022년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에 따라 구체적인 설치 근거가 마련된 후 처음 설치되는 전국 최초의 특별지방자치단체다. 충청광역연합은 초광역 대중교통망 구축, 초광역 첨단클러스터 조성 등 협력 사업을 통해 충청권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미래지향적이고 통합적인 지방자치의 새 모델을 제시할 예정이다. 충청광역연합이 현재 이를 실현하기 위한 요소를 갖추고 있는지를 살펴봤다. <편집자 주>

대구와 경북, 부산과 경남, 광주와 전남 등 전국 광역 지방자치단체 간 통합 이야기가 부쩍 많아졌다. 수도권 집중 가속화에 따른 지역소멸, 경제·인구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발전 토대를 만들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탓이다. 이 중 가장 큰 문제는 인구다. 저출생은 지역소멸, 경제 위기 등의 만병의 근원 격으로 지목된다.

김영환(충북지사) 초대 연합장이 밝힌 충청광역연합의 비전은 메가시티다. 김 연합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앞으로 충청광역연합은 지방시대 자치분권 실현과 지역중심 균형발전을 선도하는 대한민국 대표 메가시티를 비전으로, 초광역 협력사업 추진과 초광역 행정사무 공동처리 등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메가시티로 성장하기 위해선 어느 정도 자체적 생산, 소비가 가능한 규모의 경제를 갖춰야 한다. 그 기본이 인구인데 통상 1000만명 이상이다.

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르면 충청광역연합의 인구는 2024년 말 기준 555만 7593명이다. 전국 인구의 10.85%에 불과하다.

수도권(2604만 7523명, 50.86%)의 4분의 1규모다. 대구·경북(489만 5013명, 9.56%)보다는 조금 많다.

충청권 시·도별로는 대전 143만 9157명, 세종 39만 685명, 충북 159만 1177명, 충남 213만 6574명 등이다.

2020년에는 대전 146만 1599명, 세종 35만 8984명, 충북 160만 719명, 충남 212만 681명 등으로, 대전과 충북은 줄고, 세종과 충남은 증가했다. 총계로 보면 세종 증가세에 힘입어 4년간 1만 5610명 늘었다.

하지만 연령별 인구 구조를 보면 산업생산 참여 확대 가능성에서 큰 기대가 난망하다.

현재 전국적인 저출생 국면에서 충청권의 고령화 가속이 확연하기 때문이다. 충청권 유소년(0∼14세) 인구 비율은 12.66%인데 반해 고령(65세 이상) 인구는 18.46%다.

유소년과 고령 인구의 전국평균은 각각 10.67%, 20.03%다.

전국평균과 비교해 현재의 유소년 인구 비율이 높아 장래 생산연령(15∼64세) 인구가 늘 것으로 보이지만 지역별 고령화 정도를 감안하면 개선 여지는 크지 않다.

현재 고령 인구 비율은 18.46%인데 지역별로는 전국에서 젊은 층이 가장 두텁다는 세종이 11.60%고 대전은 18.01%다. UN기준으로 세종은 고령화 사회(65세 이상 7% 이상)고 대전은 고령 사회(65세 이상 14% 이상)다.

충청권 인구의 67%를 차지하는 충북과 충남의 고령 인구 비율은 각각 21.95%, 22.26%다. 전국평균(20.03%)보다 높은 두 곳은 모두 초고령 사회(65세 이상 20% 이상)다.

그렇다고 현재 생산연령(15∼64세)이 산업인력 제공의 동력이 되기도 쉽지 않은 형국이다.

이 생산연령 충청권 평균(68.88%)이 전국(69.30%)보다 낮은 상황에서 충북(67.39%)과 충남(66.63%)은 오히려 더 뒷걸음질을 하고 있어서다.

이 연령대 비율은 대전이 70.98%, 세종은 70.52%다.

향후 인구 증가도 크게 기대하기 어렵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대전은 이미 2014년에, 충북은 2034년에, 충남은 2038년에 인구 정점을 찍었거나 인구 정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2022년 기준 2052년 인구는 대전이 15.1%, 충북은 5.0%, 충남은 0.1% 각각 줄어든다. 이들 3곳의 인구 감소 규모는 31만명이다. 세종만 41.1% 증가하는데 인구수로는 16만명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강력한 인구유입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다.

최호택 배대재 교수(행정학과)는 "인구수는 지역소멸 여부와 직결된 중요한 요인"이라며 "수도권으로 가려는 지역의 젊은 층을 잡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자생을 위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려면 4개 시·도가 인구 늘리기에 우선 역점을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영재 기자 memo34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