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전국 5개 권역서 운영
접근성 낮고 예산·인력 부족
잇단 참사로 필요성 급부상
[충청투데이 함성곤 기자] 최근 국내 대형 참사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참사 피해자를 비롯한 지역민들의 트라우마 극복을 위한 지역 트라우마 센터 확대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충청권의 경우 오송참사와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등 대규모 인명 사고가 발생한 만큼 접근성과 전문성이 확보된 트라우마 센터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지난해 11월 TBN충북교통방송과 충북대학교 심리학과가 발표한 ‘7.15 오송참사 피해자 추적조사 결과 보고’를 살펴보면 해당 설문에 응답한 유가족과 생존자 80%가 심리 지원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답했지만, 실제 만족도는 평균 7%에 불과했다.
응답자들은 "치료와 상담이 전문적이지 않다"거나 "형식적인 전화 상담으로 느껴졌다"고 지적했다.
한 생존자는 "시에서 내주는 정신과 치료비 지원은 동네에 있는 1차 정신 건강 의학과를 가는 것으로, 전문적이지 않고 약으로만 치료하려 한다"는 답변을 하기도 했다.
또 충남 공주에 있는 충청권역트라우마센터는 시 외곽에 위치해 있어 교통편이 원활하지 않아 지역민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해당 연구를 진행한 최해연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는 "심리치료에 투입된 전문 트라우마센터도 휴일에 문을 닫거나, 접근성 등 이유로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었다"며 "지자체는 참사 경험을 복기하며 피해자 지원 정책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라우마 같은 정신 건강 상담의 경우 진료 특성상 반복적인 상담을 통해 경과를 지켜봐야 하기 때문에 센터 접근성 역시 중요할 수밖에 없다.
현재 전국 5개 권역에서 권역별 트라우마 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관할 지역의 범위가 넓어 접근성이 떨어지거나 운영 인력과 예산 등이 부족해 지역민들에게 실질적인 심리 지원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다.
한국정신사회재활협회장을 역임한 최영민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현재 운영 중인 국가트라우마센터는 예산이나 인력 등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라며 "해외의 경우 훈련된 트라우마 상담 인력들이 비상근으로 센터에 소속돼 있으면서 필요하면 모이는 형태로 운영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앞서 대전세종연구원은 2021년 발간한 ‘대전시 트라우마 치유센터의 설립에 관한 기초적 연구’ 보고서에서 세월호 참사 이후 자연·사회적 재난으로 발생하는 트라우마 치료에 대한 지원과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해당 보고서를 발간한 이형복 대전세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대형 참사 발생 시 몇 년간 피해 당사자들의 상담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트라우마 상담센터 증설과 위치는 중요하다"며 "연구 진행 시 대전이 지리적 접근이 쉬워 인프라 구축에 유리하다고 판단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유가족과 생존자들의 거주지는 사고 지역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권역별 트라우마 센터 확대가 필요한 때"라고 전했다.
함성곤 기자 sgh0816@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