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인구감소포럼-종합토론]
청년몰·복합타운 조성 의견도
'외국인 정착인구 확대' 목소리
"모든 세대 참여 캠페인 펼쳐야"

22일 금산군 청산회관 8층에서 열린 인구감소 위기 극복을 위한 인구포럼에서 자유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김주형 기자 kjh2667_@cctoday.co.kr
22일 금산군 청산회관 8층에서 열린 인구감소 위기 극복을 위한 인구포럼에서 자유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김주형 기자 kjh2667_@cctoday.co.kr

[충청투데이 김일순, 이상문, 강대 기자] ‘금산군 인구감소 위기 극복을 위한 인구포럼’에서는 금산군 인구유치 전략에 대한 각계각층의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서정교 중부대학교 보건행정학과 교수는 종합토론을 통해 “금산군은 청년과 액티브시니어를 위한 핫플레이스가 부족하다”며 “만인산 굴다리 재개발(와인터널)과 대학로 일대를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청년몰과 액티브시니어 복합타운으로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고”고 강조했다.

서 교수는 “40세 미만 대상 1~6개월 젊은이 무상임대(빈집)를 통한 프랜들리 금산 만들기, 농촌 빈집 리모델링을 통한 특단의 귀농·귀촌 정책이 요구된다”며 “또한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통한 영주권 발급 유도로 외국인 정착인구 확대 정책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유현아 국토연구원 국토정책지역계획센터 박사는 “금산군의 인구감소 문제를 해결하려면 지역 특성을 잘 활용한 산업 및 사회적 변화가 필요하다”면서 “전통적인 방식의 농업을 유지하기보다는, 첨단 기술을 접목해 농업을 디지털화하고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확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체험형 관광 산업을 통해 지역의 자연과 문화를 상품화 할 수 있다”면서 “예를 들어 ‘마을 스테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외부 인구를 유입시키는 동시에 청년 창업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인배 금산군 정책보좌관은 “금산군은 현재 인구소멸 대응사업으로 아토피 자연치유마을 확대발전, 아이조아센터 조성, 인구리더 육성 및 관련 전문가세미나 개최, 농촌빈집 정비 및 활용사업, 금산에서 일주일 살기 등 다양한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다”며 “양에서 양과 질을 융합하는 인식변화, 인구소멸 대응인식의 변화와 장기적인 단계별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금산이 보유하고 있는 자연환경과 역사문화, 농산촌의 아름다운 경관에 교육, 문화, 의료보건 등 생활서비스를 갖춰야 한다”며 “공공과 함께 지역거버넌스 구축과 주민주도형 사업을 펼칠 것”이라고 전했다.

송영천 금산군의회 의원은 “금산군은 대전과 가까운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금산-대전간 시외버스 노선 교통 여건을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또한 출산율을 늘리기 위해선 경제적 지원, 일과 가정의 양립, 공공보육 서비스의 질적 향상, 가족 친화적 문화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청년층의 안정적인 직업과 생활을 보장하고, 금산군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정책이 중요하다”면서 “모든 세대와 계층이 공감하고 참여할 수 있는 캠페인과 사회적 논의의 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이상문 기자 wing7535@daum.net

강대묵 기자 mugi10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