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연구원 팀장급 이상 62.5% 타지역 거주
대도시 살며 농어촌 해결방안 찾기 어불성설

충남연구원 로고[연구원 웹사이트 갈무리]
충남연구원 로고[연구원 웹사이트 갈무리]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지역에 살지도 않으면서 도내 인구유입 방안을 연구하는 것은 ‘어불성설(語不成說)’이라는 지적이다.

충남 공주에 위치하고 있는 충남연구원의 팀장급 이상 24명 중 대전·세종 지역에 거주하는 비율은 62.5%(15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도내 거주자 6명(25%)에 불과한 탓에 충남연구원이 아니라 대전세종연구원으로 불러야 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충남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는 15일 충남연구원에 대한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했다.

이 자리에서 지민규 의원(아산6·무소속)은 "충남연구원은 도내 시군지역의 인구감소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구 정착·유입 방안을 연구하고 제안하고 있는 기관이지만 팀장급 이상 중 도내 거주자는 25%밖에 되지 않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충남연구원의 연구원들은 정작 대도시에 살고 있으면서 농어촌 지역의 문제점을 찾고, 해결 방안을 내놓는 것은 현실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오용준 원장대행은 "도내 거주 비율을 늘리기 위해 고민하겠다"고 대답했다.

일부 연구원의 과도한 대외활동도 도마 위에 올랐다.

구형서 의원(천안4·민주)은 "대외 활동을 많이 한 상위 10명은 올해 11월까지 최소 50건이 넘는다"며 "한 연구원은 대외활동이 60건이 넘는 데 연구보고서 작성은 1건에 불과하다. 대외활동이 많을수록 연구원 본연의 업무에 소홀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충남연구원이 충남도에 제출한 ‘개인별 외부강의·자문·위원회 참석 현황 및 수당액’을 보면 지난해 대외활동으로 연 1000만원 이상의 부수입을 얻고 있는 연구원은 27명에 달했다.

연구원의 업무 특성상 타 기관·단체와 협업, 공동 연구 등 대외 활동이 불가피한 점을 감안해도 일부 연구원들은 대외 활동이 지나쳐 ‘투 잡(two job)’으로 억대연봉을 받고 있다는 오해의 소지가 충분하다는 것이다.

박정식 의원(아산3·국민의힘)은 연구원의 해외출장 목적과 성과에 대해 질책했다.

그는 "도내 대중교통 체계 연구 목적으로 스웨덴, 핀란드 등 북유럽을 다녀왔는데 무슨 연관성이 있고, 출장 성과와 접목 방안은 무엇이 있나"질책했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충남도의회[연합뉴스 자료사진]
충남도의회[연합뉴스 자료사진]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