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대학, RISE 도입 따라 쪼개질 듯
"지역인력 키우려면 역량 모아야…"
지역 교육계 일각선 우려 목소리↑

한 대학에서 학생이 계단을 오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 대학에서 학생이 계단을 오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충청권이 행정 협력, 나아가 통합까지 바라보고 있지만, 대학 교육 분야에선 거꾸로 벽을 세우는 분위기다.

대전, 세종, 충남 24개 대학이 참여하던 DSC 공유대학이 내년 지역혁심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라이즈) 도입에 따라 지자체별로 쪼개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24일 대전시, 세종시, 충남도에 따르면 내년 라이즈 시행에 맞춰 지역별 공유대학을 새롭게 설계하겠다는 계획이다.

기존 지역혁신플랫폼(RIS) 사업에 근거한 DSC 공유대학은 내년까지 운영해 모든 재학생의 졸업을 돕고, 동시에 라이즈 공유대학을 다시 구축해 2026년부터 본격 운영할 예정이다.

이때 라이즈 공유대학은 대전, 세종, 충남별로 각각 만들겠다는 방침으로, 기존 RIS와 같은 광역 연계는 아직까지 지자체의 구상에 없다.

내년 라이즈 도입의 성공적 안착이 지자체 간 연계보다 중요하고, 자칫 연계로 인해 지역별 전략산업에 필요한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것이 지자체들의 계산이다.

한 충청권 지자체 관계자는 "DSC 공유대학이 중점을 뒀던 모빌리티 산업이 충청권 모든 지자체의 주력산업이었다고는 볼 수 없다"며 "우선 지역 안에서의 공유대학에 집중할 생각이다"고 말했다.

교육계 일각에선 대전, 세종, 충남이 별개의 공유대학을 각각 운영하는 것이 교육의 질을 떨어트릴 수 있다고 우려한다.

결국 지역산업 인력 양성이 목표인데, 이를 위해선 서로의 우수한 역량을 결집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익명의 충청권 대학 교수는 "인재를 선발하는 것부터가 공유대학의 시작인데 대전에만 국한하기보단 세종, 충남까지 인력풀을 넓히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고 설명했다.

해당 교수는 "학생 모집뿐만 아니라 교수진 구성, 기업의 참여 또한 같은 맥락에서 가용 범위를 넓힐수록 좋다"고 덧붙였다.

또 "지자체에서 우려하는 전략산업과의 연계는 공유대학 과정을 반도체, 모빌리티 같은 특정 산업보다는 소프트웨어, 통신, 소재, 화학 등 세부 분야로 구성함으로써 접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충청권은 4개 시·도의 초광역권 사무를 공동으로 처리하는 충청광역연합이 내달 출범하고, 대전시와 충남도는 아예 행정구역을 통합하겠다고 선언하는 등 그 어느 때보다 협력의 물꼬를 트고 있다.

하지만 대학, 산업 인력 양성에 있어선 오히려 담을 쌓으려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어 라이즈 공유대학의 구성 및 운영에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에 대해 한 충청권 지자체 관계자는 "메가시티 측면에서라도 초광역 공유대학은 의미가 있다고 본다"며 "라이즈 사업 첫해인 내년에는 각자의 사업 정착에 집중하고 이후 서로의 공유대학 연계를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