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청권 메가시티. 그래픽=김연아 기자. 
충청권 메가시티. 그래픽=김연아 기자. 

대전·세종·충남·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가 ‘충청광역연합’이란 초광역자치단체연합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대전시와 충남도가 행정구역 통합에 나섰다. 대전시와 대전시의회, 충남도와 충남도의회는 21일 대전 중구 선화동 옛 충남도청에서 ‘통합 지방자치단체’ 출범을 위한 공동 선언문을 발표했다. 세종시는 행정중심도시로서의 기능이 있고, 충북도는 대전·충남과 정서적으로 다소 떨어져있어 대전시와 충남도가 먼저 행정구역 통합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평소 시·도 통합에 긍정적 마인드를 갖고 있던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가 의기투합했다는 관가의 분석이 나온다. 김 지사는 지난해 기자회견에서 "대한민국이 균형발전 하려면 5~6개 정도의 광역도로 가야한다"는 소신을 밝힌 바 있다.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충청권 4개 시도가 통합하게 되면 나 자신을 희생할 수 있다"며 불출마를 시사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대전과 충남은 한 뿌리라는 공통의식이 통합 선언에 크게 작용했다. 1989년 대전시가 직할시 승격 후 충남도에서 분리된 지 35년 만에 다시 합치는 것이다.

수도권 일극주의에서 지방소멸을 막기 위한 선제적 조처라 하겠다. 대구, 경북이 이런 이유로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대전, 충남이 통합하면 인구는 358만명, 지역내총생산(GRDP)은 191조6000억 원으로 전국 3대도시로 우뚝 서게 된다. 대전과 충남의 강점은 공유하고, 약점은 희석시킴으로써 시너지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대전은 첨단과학 분야에 우의를 점하고, 충남은 제조업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행정효율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2026년 전국동시지방선거 전까지 행정구역을 통합한다는 계획이다. 갈 길이 멀다. 물리적으로 시간이 촉박할뿐더러 광역지자체 간 통합을 위한 법적 장치가 아직 마련돼 있지 않은 까닭이다. 시·도 행정 수장간 위로부터의 통합추진이 시·도민들에게 어떻게 다가올지도 불분명하다. 충북 청주, 청원 두 기초지자체가 통합하는데 주민 반발로 20년 가까이 걸렸다. 가장 중요한 건 시·도민의 공감대 형성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