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과학기술·충남 산업 인프라 연계 성장동력 창출
인구 360만·GRDP 190조원·세계 60위 경제력 기대
중복 행정기능·예산 절감… 인구감소·복지문제 해결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대전시와 충남도가 세계와 경쟁하는 초광역경제권을 구축,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두 지역의 기존 행정체계를 개혁, 인구 360만명, 지역내총생산(GRDP) 190조원 규모 경제권으로 키워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대전의 과학기술 역량과 충남의 산업 인프라를 결합해 국가 차원의 성장동력을 창출하겠다는 게 핵심이다.
현재 대전과 충남은 각자 독립된 행정 체계로 운영되고 있지만, 두 지역이 가진 역사적·문화적 공통성과 경제적·생활권적 연계성은 이미 상당하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지방 소멸 위기와 수도권 집중 문제에 대응하고, 주민 생활권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통합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면서 통합이 실현되면 대전과 충남의 경제력은 세계 60위권으로 도약할 것으로 전망했다.
통합 후, 대전, 충남의 통합인구는 360여만명에 달해 전국 3위 규모로 증가하고, 재정 규모도 17조원을 넘길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올해 기준 무역수지가 369억 달러로 전국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충남의 경제력과 대전의 기술력이 결합하면 새로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통합을 통해 다양한 혜택을 예상하고 있다. 먼저 중복되는 행정 기능과 예산을 절감해 인구 감소와 복지 문제 해결 등 미래 대응 분야에 자원을 재배치할 계획이다.
또 통합된 경제권이 국내외 기업 유치를 활성화하고 첨단산업과 도시개발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교통망 확충도 주목을 끈다.
충청내륙철도와 대전 광역전철의 연장 등 초광역 교통 인프라 구축을 통해 지역 간 이동성을 높이고, 산업과 관광 활성화를 동시에 꾀할 예정이다.
관광 분야에서는 충남의 해양자원과 대전의 쇼핑·의료 서비스를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보인다.
가로림만과 격렬비열도 등 충남의 독특한 자연경관을 활용하고, 대전의 과학기술 기반 관광 콘텐츠를 결합해 국내외 관광객을 유치할 계획이다.
양 지역이 가진 자원을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해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겠다는 구상이다.
통합 지방정부의 출범시점은 2026년 7월로 계획했다. 이를 위해 대전시와 충남도는 내년 상반기까지 특별법안을 마련하고, 하반기에는 청사조성 준비와 전산 시스템 통합 등의 작업에 착수한다.
또 민관협의체와 통합추진단을 구성해 주민 의견 수렴과 쟁점 논의에 나설 예정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충남과 대전이 통합하면 수도권에 이은 대한민국 2위 경제거점 형성이 가능할 것”이라며 “초광역경제권을 구축해 세계와 경쟁하고, 반도체나 우주항공기술, 국방산업 등 대한민국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