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 내홍 등으로 1년 넘게 공사 중단
오송국제도시 등 개발계획 걸림돌 우려
16일 조합총회… 스스로 정상화 나서야
[충청투데이 김동진 기자] 충북 청주 오송역세권 도시개발사업이 조합 내홍 등으로 1년 넘게 공사가 중단돼 사업 무산 우려까지 제기되면서 사업의 공익적 목적을 인식, 조합원들의 적극적 역량 결집이 요구된다.
오송역세권사업은 2013년 충북도가 공영개발방식으로 추진하다 사업시행자를 구하지 못해 무산된 뒤 2016년 민간개발방식으로 전환, 재추진됐으나 사업 타당성 부족 등을 이유로 시행사가 중도에 사업을 포기하는 바람에 다시 좌초됐다.
이후 2019년 새로운 시행사를 선정, 오송역 일원 71만㎡에 주거·상업·업무·유통시설 용지 등을 조성하는 역세권 개발사업을 당초 지난해말 마무리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사업 추진 과정에서 유통상업용지 용도변경 등을 둘러싸고 조합원들간 찬반 갈등이 증폭된 데다, 사업 관련 이해관계에 있는 업체들간 소송 등으로 파행을 겪으면서 지난해 7월부터 공사가 중단된 상태다.
유통상업용지는 당초 일반상업용지로 계획됐으나, 사업 결정 과정에서 조합측의 요구로 유통상업용지로 변경됐음에도 유통상업용지 매입계약 업체와 일부 조합원들이 이를 일반상업용지로 용도변경을 추진하면서 조합 내홍이 불거졌다.
유통상업용지 용도변경안은 수차례 갈등조정위원회 중재에도 합의점을 찾지 못하는 바람에 지난 9월말 청주시도시계획위원회에서 최종 부결되면서 조합내 최대 갈등 요인은 일단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이 과정에서 전임 조합장이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돼 1심에서 중형을 선고받고, 새로 선출된 조합장은 법원으로부터 직무정지 결정을 받는 등 조합 내 혼란은 지속되고 있다.
조합내 갈등으로 기존 업무대행사에 이어 새로 계약한 업무대행사도 해지되면서 현재는 업무대행사도 없는 상황이다.
문제는 장기간 사업이 중단돼 있는 데다 업무대행사마저 없는 상황은 물론 조합 재정 상태 등을 감안할 때 당장 사업 추진을 재개하기도 어려운 형편이다.
오송역세권사업은 조합원 환지 방식으로, 사업시행자가 일단 자금을 투입해 사업을 추진한 뒤 환지를 통해 이윤을 나누는 방식이어서 업무대행사가 없는 현재로는 사업 추진 재개 자체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결국 사업의 장기 중단으로 자칫 사업 자체가 무산될 경우 그 피해는 고스란히 조합원들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
민간사업 특성상 조합원들의 갈등에 청주시 등 자치단체가 개입하기도 어려운 데다, 개입할 경우 자칫 법적 시비에 휘말릴 수도 있어 조합 스스로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
이와 관련, 조합 안팎에선 사업 자체가 민간개발 방식으로 추진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오송역세권 개발사업은 사적 측면보다 공공성 측면이 강한 사업이라는 점에서 조합원들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오송국제도시 조성과 오송바이오클러스터 구축 등 오송지역에 각종 개발계획이 집중된 상황에서 오송역세권 개발사업도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만큼 조합원들이 공익적 책임의식을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조합원들 스스로 재산권을 지키고 기대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사업 정상화가 시급하다.
이를 위해선 일부 사적 이익만을 노리는 일부 조합원들과 배후세력에 휘말리지 않고, 사업 추진의 목적과 정상화 방안에 대해 냉철한 판단이 필요하다.
오는 16일 새로운 집행부 선출을 위해 열리는 임시총회가 그 전환점이 될 수 있는 만큼 조합 내분을 조속히 봉합하고 사업 정상화를 이끌어갈 집행부 선출에 지혜를 모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김동진 선임기자 ccj1700@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