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조합원들간 갈등으로 표류하고 있는 충북 청주 오송역세권도시개발사업이 새 국면을 맞고 있다. 내부 갈등의 핵심 원인이던 유통상업용지 용도변경안이 지난달 말 청주시도시계획위원회에서 부결됐기 때문이다. 조합원들간 합의된 의견 조율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용도변경을 허용할 경우 내홍 심화는 물론 사업 지연 등에 따른 전체적인 사업 추진에 위기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게 시도시계획위원회의 판단으로 보인다.
당초 공영개발 방식이던 사업이 추진 과정에서 차질을 빚으면서 민·관 공동개발을 거쳐 다시 민간개발 방식으로 수차례 변경되는 등 오송역세권 개발사업은 지난 십수년 동안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다. 민간 개발 방식으로 재추진되는 과정에서 유통상업용지 용도변경을 둘러싸고 조합내 갈등이 다시 불거지면서 공사가 중단되고, 전임 조합장이 뇌물 수수 혐의 등으로 구속되는 등 내부 혼란은 더욱 깊어져 왔다.그러나 이번 유통상업용지 용도변경안 부결에 따라 최대 갈등 요인이 사실상 해소된 만큼 사업 재개를 위해 조합원들의 합심 노력이 필요하다.
민간 개발 방식으로 추진되는 사업인 만큼 사업이 장기간 지연되거나 자칫 무산될 경우 그 피해는 고스란히 조합원들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는 것이 그 배경이다. 오송역세권 개발사업이 오송지역 전체의 발전과 도약의 발판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조합내 갈등은 자치단체 등에서 관여하기도 어렵고 해결할 수 있는 문제도 아닌 만큼 조합 스스로 헤쳐나가야 할 문제다. 조합원들은 이제라도 오송역세권 개발사업의 취지에 부합하고, 조합원들 스스로 자신의 재산과 권리를 지키기 위해서 사소한 개인적 이익을 내려놓고 도시개발 사업의 정상화를 위해 노력해야 하는 당위가 여기에 있다.
조합은 다음달 중 임시총회를 열어 새로운 조합 집행부를 선출할 계획이다. 임시총회를 통해 사업 추진 과정에서 표출된 갈등 요인과 장애 요인을 말끔히 해소하는 것은 물론 조합원들의 합치된 의견을 도출해 오송역세권 도시개발사업이 정상 궤도에 다시 오를 수 있도록 조합 스스로 각성하고 탈바꿈하길 촉구한다. 특히 오송역세권 개발사업 차질은 오송지역 전역에서 추진되고 있는 각종 개발사업에 파장을 미칠 수 있다는 공익적 책임의식도 새롭게 인식하길 권고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