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성할 수 없는 입장 발언, 군수로서 고뇌 담긴 표현”
환경부 구체적 대책 충분히 제시할 경우 달라질수도

김돈곤 청양군수가 7일 청양군청에서 지천댐 관련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청양군 제공.
김돈곤 청양군수가 7일 청양군청에서 지천댐 관련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청양군 제공.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김돈곤 청양군수의 7일 청양 지천댐 건설 관련 브리핑에 대해 ‘반대’가 아닌 ‘조건부 찬성(반대)’ 입장에 가깝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이날 김 군수는 지천댐 건설을 “반대한다”로 표현하지 않고, “찬성할 수 없는 입장임을 분명히 밝힌다”며 현재는 찬성할 수 없지만 앞으로는 찬성할 수도 있다는 해석의 여지를 남겨뒀기 때문이다.

지난 7월 환경부에서 청양 지천을 기후위기대응댐 후보지(안)으로 발표한 이후 지역 안팎의 찬반 여론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치적·실리적 입장을 따질수 밖에 없는 김 군수의 고뇌가 담긴 표현이라는 것이다.

김 군수는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지천댐 건설에 대한 환경부의 대책이 주민 피해 우려를 해소하지 못하고, 지역 주민의 상실감을 해소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다고 판단해 ‘찬성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힌다”며 “신규 댐 건설이 국가 미래를 결정하는 중대한 국책사업이라면 환경부는 범정부차원의 협의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천댐 건설과 관련해 군민들의 의견이 찬반으로 나뉘어 갈등과 반목하고 있지만 서로 입장 차이만 있을 뿐 지역의 미래를 걱정하고 고민하는 마음을 같을 것”이라며 “자신의 입장만 생각하거나 고집하기보다 상대를 이해할 수 있는 아량과 성찰로 지역의 미래를 함께 고민하고, 힘을 하나로 모아주시길 간곡히 당부드린다”고 호소했다.

김 군수는 지난 9월 환경부에 상수원 보호구역 지정, 각종 행정제재, 안개발생 피해방지와 보상대책, 수몰로 인한 인구 감소, 농축산업 기반 상실 등 지역발전 저해 우려, 지천댐 건설 이후 대청댐과 동시 방류시 지천 제반 붕괴, 지천 생태계 파괴 우려, 정부 차원의 제도적 장치 마련 등에 대한 해결책을 요구했다.

하지만 환경부의 답변을 검토한 결과, 상류지역 수질 개선과 댐 건설로 인한 상실감 해소 등 지역개발 대책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대책이 미흡해 지천댐 건설을 찬성할 수 없다는 게 김 군수의 판단이다.

반면 김 군수의 이러한 입장은 환경부에서 구체적인 대책을 충분히 제시할 경우 댐 건설을 찬성할 수 있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일각에서는 지천댐 관련 논쟁이 청양군민에서 도와 청양군의 갈등으로 번지기 전에 환경부에서 주민들이 요구하는 수준의 명확한 대책을 내놔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모 관계자는 “지천이 댐 후보지(안) 단계인 점을 감안해도 환경부는 그동안 원론적인 답변밖에 없었다”며 “김 군수가 ‘찬성할 수 없다’는 입장을 나타낸 것은 반대로 찬성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대책과 명분을 제시해 달라는 뜻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