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공동캠퍼스 개교기념 및 비전 선포식 열려
7개 대학 입주해 지식과 자원 공유하는 방식
2029년까지 7개 대학, 3000여명 입주 예정
세종시, 통학 환경 조성 위한 대중교통 정비
[충청투데이 강대묵 기자]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을 책임질 국내 최초 공유형 캠퍼스인 ‘세종 공동캠퍼스’가 문을 열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25일 세종 공동캠퍼스 맞이광장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와 지역 국회의원, 입주대학 총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세종 공동캠퍼스 개교기념 및 비전 선포식’을 개최했다.
세종 공동캠퍼스는 대학 간 벽을 허물고 지식과 자원을 공유해 혁신적인 교육시스템을 도입한 국내 최초의 캠퍼스 모델이다. 임대형(서울대, KDI, 충남대, 충북대, 한밭대)과 분양형(충남대, 공주대, 고려대 세종캠퍼스)으로 나눠 총 7개 대학이 순차적으로 입주하고 있다.
한덕수 총리는 “세종 공동캠퍼스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4대 개혁 중 하나인 교육개혁의 차원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며 “정부는 세종 공동캠퍼스가 시설공유·융합교육 실현 등 설립 취지와 비전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김형렬 행복청장은 “세종 공동캠퍼스는 청년인구가 행복도시에서 마음껏 꿈을 펼치며 교육과 직업활동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 도시에 젊은 활력과 문화가 창출되도록 할 것”이라며 “현재보다 미래가 더 기대되는 세종 공동캠퍼스의 발전을 위해 행복청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세종시는 공동캠퍼스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 각종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특히 학생들의 편리한 통학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대중교통 정비에 집중한다.
앞서 지난 8월 3일 운행을 개시한 B7 노선과 함께 272·273번 노선이 이달 초부터 공동캠퍼스까지 운행을 개시했으며 1001·1002번 등 광역 노선의 연장 운행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지난 7월부터는 세종 공동캠퍼스가 위치한 4생활권에 수요응답형버스 ‘이응버스’를 확대해 운행 중이다.
공동캠퍼스는 이달 서울대 행정대학원 등 4개 대학이 개교했고 2029년까지 7개 대학, 3000여 명이 입주할 예정이다.
시는 이번 공동캠퍼스 개교를 통해 융합교육·연구 환경이 조성되고 청년층의 인구 유입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민호 시장은 “세종시는 공동캠퍼스가 교육 공간을 넘어 우리지역 발전과 글로벌 혁신의 중심에 설 수 있도록 아낌없는 노력을 기울이고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 교육을 선도하는 도시로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강대묵 기자 mugi1000@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