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분양형 캠퍼스 공사비 심사… 증액 불발땐 조성 차질
임대형 충남대 의과대학 입주 연기속 분양형은 첫삽도 못떠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속보>=정부가 충남대, 공주대의 세종공동캠퍼스 분양형캠퍼스 공사비를 증액 심사하고 있다.<7월 26일 1면 보도>
두 대학은 정부가 민간의 공사비를 보전하는 방식으로 캠퍼스를 조성할 예정이라 증액이 늦어지거나 불발될 경우 세종 입주에 타격이 불가피하다.
세종 임대형캠퍼스도 충남대 의과대학이 내달에서 내년으로 입주 시점을 연기한 가운데, 분양형캠퍼스까지 빨간불이 켜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7일 충남대와 공주대에 따르면 한국개발연구원(KDI) 공공투자관리센터(PMAC)는 현재 세종 분양형캠퍼스의 사업비 변경을 검토하고 있다.
당초 사업비 308억원에서 20억원을 추가하려는 것으로, 증액분은 캠퍼스 지방냉난방 설치 부담금 및 설치비, 쓰레기 자동집하시설(크린넷) 설치비로 투입될 목적이다.
세종공동캠퍼스는 서울대(행정·정책대학원), 충남대(의대·대학원), 충북대(수의대·대학원), 한밭대(AI·ICT 계열), KDI 국제정책대학원(행정·정책대학원)이 사용하는 임대형과 공주대, 충남대가 직접 조성하는 분양형으로 구성된다.
임대형은 내달 한밭대를 시작으로 입주가 시작되고, 분양형은 애초 지난달 착공에 들어가 2년 뒤 입주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분양형은 현재 삽도 뜨지 못한 상태로, 착공 시점도 통상 2달 소요되는 PMAC의 심사 기간을 감안해 내년 3월로 미룬 상태다.
다 지어진 건물에 들어가는 임대형과 달리 분양형은 대학이 직접 쓸 건물을 조성해야 한다.
사업 방식은 BTL로 민간 건설사가 먼저 자기자본으로 건물을 지으면 이후 정부가 임대료의 형태로 비용을 상환하는 방식이다.
즉 건설사와 정부의 적정 공사비 협의가 마무리되기 전까진 캠퍼스 조성 공사가 불가능한 것이다.
PMAC의 심사가 예상보다 장기화되거나 기재부에서 증액을 불승인할 경우 두 대학의 세종캠 조성은 차일피일 미뤄질 수밖에 없다.
공사비 협상이 결렬돼 우산협상대상자가 지위를 포기하는 불상사도 배제할 수 없다.
충남대와 공주대가 지난해 8월 계룡건설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할 때도 1차 공고 유찰 후 재공고를 진행한 바 있다.
충남대 관계자는 “증액이 안 될 경우 우선협상대상자가 못하겠다고 하면 못하는 것”이라며 “경기가 어렵다 보니 나서는 건설사도 없다시피 하다”고 설명했다.
공주대 관계자는 “오는 10월에는 심사가 끝날 것으로 예상해 착공을 내년 3월로 잡았다”며 “지역냉난방, 크린넷 등 세종이라는 지역 특성 때문인 만큼 공사비 증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