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 부서 年 1억 7000만원 외부건물 임차 사용
직원·도의회·NGO 등 본관 리모델링 부정적 시선
[충청투데이 김영재 기자] 충북도의 도청 본관 복합문화공간 조성이 안팎에서 눈총을 맞고 있다.
멀쩡한 집을 두고 셋방살이를 하는 부서가 많다는 게 공통 표적이다.
24일 충북도와 충북도의회 등에 따르면 8개 부서가 도청 인근 청학빌딩 4∼5층과 은산타워 2∼3층을 임차해 사용하고 있다.
두 건물 연간 임차료는 1억 7424만원에 달한다.
충북도는 옛 중앙초 터에 짓는 제2청사가 내년 6월 완공되면 충북도의회와 도청 별관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현재 본관에 배치돼있는 지사실과 부지사실, 소회의실 등은 충북도의회와 도청 부서가 공동으로 쓰고 있는 신관으로 옮긴다.
충북도는 100억원이 넘는 돈을 들여 도서관과 전시관, 체험공간, 북카페 등을 갖춘 복합문화시설로 본관을 리모델링할 계획이다.
제2청사가 마련돼도 8개 부서의 딴집살이는 계속된다고 한다.
도청 내부에서 복합문화공간 조성에 대해 부정적 시각을 만드는 배경이다.
한 직원은 "제2청사가 완공되고 본관을 지금과 같이 계속 사용하면 부서 배치 여유가 생겨 도청 외부에 굳이 부서를 두지 않아도 되는데 본관을 업무이외 용도로 활용한다고 많은 돈을 들여 (본관을) 리모델링하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푸념했다.
충북도의회도 이 복합문화공간 조성에 탐탁하지 않아 하는 분위기다.
이달 초 열린 제410회 임시회에서 2회 추경안을 심사하는 과정에서 소관 상임위원회는 리모델링 예산 6억원을 전액 삭감했다.
우여곡절 끝에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4억원이 살아났다.
충북도는 리모델링 사업비를 160억원으로 추계했는데 소관 상임위는 이 사업비가 너무 많다는 이유로 설계비를 칼질했다.
소관 상임위 심사 후 본관 리모델링 필요성에 대한 부정적 얘기도 나왔다는 전언이 있다.
시민사회단체는 복합문화시설 조성은 환영한다는 입장이지만 부서 분산에 따른 업무효율성 저하를 우려하고 있다.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지난 22일 낸 성명에서 "가뜩이나 비좁아 8개 부서는 도청 밖 사무실을 임차해서 사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관동 전체를 리모델링해 문화공간으로 만들겠다는 것은 전혀 공감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행정의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역할은 도민에게 수준 높은 도민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며 "김영환 지사가 지금 해야 할 일은 도청 업무공간을 더 줄여 문화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아니라 수준 높은 도민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고 공무원들의 업무효율을 높이기 위한 사무공간을 쾌적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라고 했다.
연대회의는 또 "사무공간이 부족해 복도에 캐비닛이 즐비하고, 어쩌다 민원인이 방문하면 대화할 공간조차 없는 것이 충북도청의 현실"이라고 꼬집기도 했다.
연대회의는 "충북도에 필요한 문화시설은 지금도 부족한 행정 공간을 줄여서 만들게 아니라, 성안길을 비롯해 청주시내 곳곳에 비어 있는 건물을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김영재 기자 memo340@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