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단위 광역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없어
유공자 타지에 모시는 슬픔·불편 겪기도
호국원 내년부터 안장 대상 범위 늘어나
道 대상 유공자 2만 3376명 달하는데
전국 잔여 기수 1만여기 뿐… 유치 ‘시급’

2023년 11월 24일 경북 영천 호국원에서 엄수된 6·25전사자 발굴유해 합동 영결식에서 장병들이 유해를 운구하고 있다.육군 50사단은 올해 6·25전쟁 낙동강 방어선 격전지였던 군위, 영천, 칠곡, 문경에서 25구의 전사자 유해와 2천278점의 유퓸을 발굴했다. 2023.11.24 사진=연합뉴스. 
2023년 11월 24일 경북 영천 호국원에서 엄수된 6·25전사자 발굴유해 합동 영결식에서 장병들이 유해를 운구하고 있다.육군 50사단은 올해 6·25전쟁 낙동강 방어선 격전지였던 군위, 영천, 칠곡, 문경에서 25구의 전사자 유해와 2천278점의 유퓸을 발굴했다. 2023.11.24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충남도에 호국원을 유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별시와 광역시를 제외한 도 단위 광역자치단체 중 충남에만 국립묘지가 없는 탓에 국가를 위해 헌신한 유공자들이 고향을 떠나 타지에서 묻히는 슬픔과 불편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4일 충남도 등에 따르면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은 국립묘지를 현충원, 호국원, 민주묘지, 선열공원 등 4종류로 구분하고 있다. 하지만 민주묘지는 민주화 운동자, 선열공원은 독립유공자만이 대상이라는 점에서 일반적 의미에서 국립묘지는 현충원과 호국원 두 종류로 나뉜다.

현충원과 호국원의 차이는 안장 대상이다. 현충원은 대통령·국회의장·대법원장·헌법재판소장·독립유공자, 전몰·전상·순직·공상군경, 무공수훈자, 경찰관, 소방관, 의사자, 독도의용수비대 등이 묻힐 수 있다.

호국원은 전몰·전상·순직·공상군경 무공수훈자, 경찰관, 참전유공자, 10년 이상 장기복무 제대 군인과 내년부터는 내년부터는 경찰·소방공무원으로 30년 이상 재직한 사람이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호국원은 경기도 이천, 충북 괴산, 경북 영천, 경남 산청, 전북 임실, 제주도 제주시 등 전국에 6곳이 있다.

강원도 횡성과 전남 장흥은 각각 2028년, 2029년에 호국원이 개원할 예정이다.

도 단위 광역단체 중 충남에만 국립묘지가 없는 것이다. 이로 인해 국가를 위해 헌신한 유공자들과 유가족들은 사후 고향을 떠나 타지에 묻히는 불편을 겪고 있는 것이다. 특히 전국의 호국원 안장 잔여 기수는 1만 3864기, 현충원을 포함해도 8만 3000여기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호국원 유치는 더욱 시급한 상황이다. 충남에만 지난 6월말 기준 참전유공자 8976명, 전상·공상군경 4073명, 무공수훈자 3012명, 장기복무 제대군인 5246명 등 약 2만 3376명의 대상자가 있어 이들이 이용할 수 있는 국립묘지는 턱없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김민수 충남도의원(부여·비례)은 "충남은 ‘충절과 보훈의 고장 충청남도’라는 슬로건 아래 다양한 보훈 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도 단위 광역단체 중 유일하게 국립묘지가 없는 곳"이라며 "나라를 위해 헌신한 이들에게 보답하고 예우하고, 유공자와 가족들의 염원인 호국원 유치를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