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지말아야 할 우리지역 독립영웅들]
충남도 5년간 독립운동가 1208명 발굴
890명 서훈 신청… 110명 서훈 결정
8개 시·군 미서훈자 발굴 진행 안돼
시·군 예산 필요… 의지 따라 여부 갈려
[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조국 독립을 위해 희생·헌신했지만 후손이 없거나 객관적인 증거자료 부족 등을 이유로 아직까지 서훈을 받지 못한 충청권 독립운동 미서훈자 발굴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일부 지자체의 경우 용역 등을 통해 관내 미서훈 독립운동가를 발굴하고 있는 만큼 호국보훈 정신을 잇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요구된다.
23일 충남도에 따르면 최근 5년(2020년부터 올해까지)간 도내에서 발굴한 독립운동가는 총 1208명이다.
그중 국가보훈부에 서훈을 신청한 인원은 890명이며 심사를 거쳐 서훈이 결정된 독립운동가는 110명이다.
지역별로는 △공주시 (서훈 신청)60명, (서훈)2명 △서산시 106명, 26명 △논산시 318명, 심사 중 △계룡시 1명, 심사 중 △부여군 232명, 36명 △홍성군 87명, 3명(1명 보류) △예산군 86명, 43명 등이다.
그중 부여군이 충남역사문화연구원에 용역을 맡기고 2022년 발굴해 서훈을 받은 김학길 선생(1925년~2010년)의 경우 1942년 6월 전주사범학교 재학 중 비밀결사 우리회를 조직해 활동하다 그해 8월 체포됐다.
그는 이번 미서훈자 발굴 작업을 통해 옥고를 치르고 독립을 목적으로 만주로 건너간 공적이 인정돼 지난해 대통령표창을 받았다. 다만 이들 시·군 외 나머지 8개 시·군은 근래 독립운동 미서훈자 발굴 사업이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미서훈자 발굴을 위해서는 시·군 자체 예산이 수반돼야 하는데 각 지자체의 의지에 따라 사업 진행 여부가 갈리기 때문이다.
대전시의 경우에도 현재 별도의 독립운동 미서훈자 발굴을 진행하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해 시 관계자는 "보훈 대상자 관련 여러 가지 사항들을 고려할 때 미처 검토를 못한 부분"이라며 "(미서훈자 발굴을) 당연히 해야 하지만 인력 부족을 비롯해 전산 정비가 안 돼 (미서훈자 발굴에 필요한) 서류 등이 누락되는 부분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전남도는 광역단체 최초로 3년간 미서훈자 발굴을 노력해 지난 4월 국가보훈부에 1023명의 서훈을 신청했다. 또 같은 맥락으로 전남도의회에서는 지난달 ‘전남도 독립운동 미서훈자 발굴·지원 조례안’이 전국 최초로 상임위에서 통과됐다.
지역에서는 시대 흐름 속에 묻혀 미처 예우받지 못하는 독립운동가가 없도록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꾸준한 미서훈자 발굴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019년 이후 6년째 조부 차진호 선생의 서훈 신청을 하고 있는 차택환 옹(75· 충남 논산)은 "최근 국가보훈부에 다시 한번 서훈 인정 신청을 한 상태인데 조부의 사진이 필요하다고 들었다"며 "1922년 조부가 사문서위조범으로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된 기록이 있어 서대문형무소 역사박물관에 당시 사진이 있는지 의뢰를 한 상태"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역사적 사실을 증언해 줄 수 있는 어르신들이 살아있을 때 숨은 유공자를 찾는 것에 더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또 박경목 충남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는 "독립운동 미서훈자의 경우 비교적 행적이 드러나지 않았지만 평범한 사람들의 작은 행동들이 뭉쳐서 독립이라는 큰 물줄기를 탈 수 있었던 것"이라며 "지자체와 의회 차원에서 조례 등 법적 근거를 마련해 미서훈자를 발굴하려는 노력이 이어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유빈·함성곤 기자 syb@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