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남지역 석탄화력발전소가 지난 4년간 배출 허용 기준을 넘는 대기오염물질 503톤을 배출했다며 환경단체가 석탄화력발전소 조기 폐쇄를 촉구하고 나섰다. 충남환경운동연합(환경연)은 석탄화력발전소가 소재한 보령·태안·당진·서천 등 4개 지역에서 지난 2020∼2023년 발전기별 대기오염물질 초과 배출 부과금 내역을 3일 공개했다. 환경연은 도내 4개 화력발전소에서 지난 4년간 먼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 총 530톤을 초과 배출해 67억원의 과징금을 냈다고 밝혔다. 전국 석탄화력발전소 60기 중 29기가 충남에 위치해 있다.
충남지역 석탄발전 가동률은 2020년 60.70%, 2021년 57.34%, 2022년 55.76%, 지난해 53.80%로 해마다 떨어지는 추세다. 반면 초과배출부과금은 2020년 3억7000만원, 2021년 10억8000만원, 2022년 23억1000만원, 2023년 29억8000만원으로 증가하고 있다. 석탄발전 가동률은 떨어지는데 오히려 대기오염물질 초과 배출량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주민건강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충남의 석탄화력 초과배출부과금은 전국 부과금의 58%를 차지할 정도다.
환경연은 석탄화력의 조기 폐쇄를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정부는 이미 석탄화력 단계적 폐쇄 로드맵을 내놨다. 충남의 경우 2036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 14기가 차례로 문을 닫는다. 이때까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최대한 줄여야겠다. 대기오염물질이 다량 발생한다면 그 원인을 파악하고, 신속히 대처해야 한다. 석탄화력발전소 대체방안으로 친환경에너지가 꼽힌다. 충남도가 탄소중립경제특별도를 선포한 건 친환경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해서다.
석탄화력발전 폐쇄에 대비한 신규산업 육성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다. 석탄화력발전은 지역경제를 떠받치는 한 축이다. 국토연구원은 당진 1∼4호기 폐쇄 시 GDP가 2조3349억원 줄어든다고 예측했다. 석탄화력발전소에 근무하는 직원과 가족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정주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가뜩이나 소멸위기에 처한 농촌지역이 석탄화력발전 폐쇄로 더 악화되는 일은 없어야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