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못 따라오는 안전대책]
정부, 화재 관련 긴급회의… 내달 초 종합대책 내놓을 방침
“주차장 진출입로 위치·전용 화재진압장비 비치” 목소리도
[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전기차 인프라 구축과 안전 대책 마련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나온다.
최근 연이어 전기차 화재가 발생하면서 정부는 12일 환경부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소방청 등이 참여하는 대책회의를 진행했다.
정부는 회의 결과를 종합해 내달 초 전기차 화재 종합대책을 내놓겠다는 방침이다.
지역에서도 전기차 화재를 예방하고 대응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고왕열 우송정보대 소방안전관리과 교수는 “현재 50대 이상 주차시설이 있으면 주차구역의 5%에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하도록 의무화돼 있는데 소방법, 주차장법 등 어디에도 전기차 안전 대책에 대한 기준이 없다”며 “신축 건물의 경우 전기차 주차구역 설정, 방화벽, 차수판 등 소방시설 추가할 수 있는데 이전에 지어진 건물들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전기차 주차장 위치도 깊숙한 곳이면 불났을 때 소방관 진입이 어렵기 때문에 연기가 빠져나갈 구멍이 있는 진출입로 같은 위치 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며 “또 특정소방 대상물은 의무적으로 소방교육을 하게끔 돼 있는데 아파트는 근무자만 하고 있다. 교육을 통해 소방시설이 오동작 발생했더라도 화재인지 확인하고 민원을 과다하게 제기해서 대응을 못하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대전에 기반을 둔 스타트업 ‘리모빌리티’의 전기차 화재전용 이동형 화재진압장비가 이달 2일 정부조달기술진흥협회로부터 혁신제품 지정을 받는 등 전기차 전용 화재 장비가 주목받고 있다.
리모빌리티의 전기차 화재전용 이동형 화재진압장비는 전기차 화재 발생 시 배터리 팩에 직접 약재를 분사해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다.
이재환 ‘리모빌리티’ 대표는 “전기차는 알루미늄이나 금속 케이스 안에 다량으로 리튬 배터리를 넣어 놓고 케이스 안에 밀폐해 화재시 수조에 담그고 덮어도 배터리 케이스 안으로 스며들기 어렵다”며 “리튬 배터리는 물이 닿으면 2차 폭발이 일어나 열폭주 전이가 되고 불산가스(화학)가 리튬 연소 과정에서 그대로 섞여서 나와 위험성도 크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내년부턴 주차시설의 10% 충전기 구비해야 충전기 35만개 급속충전기 고장도 잦고 다닥다닥 붙어서 충전하면 화재 발생시 대형사고에 준하는 상황이 벌어질 것”이라며 “평소 차에 불이 붙으면 소지한 소화기를 뿌려 끄는 것처럼 주차장마다 전기차 전용 화재진압장비를 비치, 초동 대처를 해 소방 도착 전 발화를 상당히 늦춰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유빈 기자 syb@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