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6일 오전 5시께 충남 금산군 금산읍의 한 주차타워 1층에 주차 중이던 전기차 밑에서 불이나 소방대원들이 불을 끄고 있다. 2024.8.6 [충남 금산소방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6일 오전 5시께 충남 금산군 금산읍의 한 주차타워 1층에 주차 중이던 전기차 밑에서 불이나 소방대원들이 불을 끄고 있다. 2024.8.6 [충남 금산소방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최근 인천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는 전기차 안전에 대한 사회적 우려를 증폭시켰다. 저탄소, 친환경을 내세워 보조금까지 지급하며 보급 확대에만 집중했던 그간의 정부 정책에도 경종을 울리는 계기가 됐다. 당시 지하주차장 화재로 차량 70여 대가 전소됐고, 100여 대는 그을림 등의 피해가 났다. 아파트 1500여 가구에 수돗물 공급이 끊겼고, 480가구는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등 주민 일상도 한순간에 마비됐다.

전기차 보급이 늘면서 관련 화재도 증가세다. 소방청 통계를 보면 2020년 11건이던 전기차 화재는 2021년 24건, 2022년 43건, 지난해 72건으로 3년 사이 3배나 늘어났다. 인천 아파트처럼 다중이용시설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는 지난해 10건이나 됐다. 리튬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차는 화재 발생 시 열폭주 현상 탓에 일반 소화기로 진화가 쉽지 않고, 국내와 같이 높은 아파트 거주 비율과 밀집 주차 환경 등을 고려하면 언제든 대규모 피해가 반복될 수 있다.

그간 정부는 연간 1조원에 달하는 보조금을 지원하며 전기차 보급 정책을 추진했으나, 안전 대책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현재 50만대 이상의 전기차가 운행되지만 전기차 화재 대응을 위한 소방시설이나 주차장 안전기준 규정은 미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다중이용시설 내 충전시설 위치 조정을 비롯해 화재감시 시스템 개선도 서둘러야 한다. 지하주차장의 경우 소방 장비 진입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만큼 전기차 화재와 주차장 특성 등을 반영한 효과적인 진화장비 보급 및 개발에도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

지구온난화와 기후위기 등이 갈수록 심화하는 현실에서 전기차는 환경보호와 에너지 효율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교통수단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안전이 담보되지 않은 채 보급만 서두르는 정책 추진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이번 인천 아파트 전기차 화재 사건이 여실히 보여줬다. 정부는 전기차 보급과 안전 대책의 균형을 잡아 국민 신뢰를 회복하고 보다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친환경 정책 추진에 적극 나서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