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올해 3130대 중 1100대 남아
인기 싸늘… 전량소화 가능할지 물음표
아파트·상가 등 지하주차 금지 분위기
“대형사고로 이어져… 지상 이용해야”
“권고할 때는 언제고 죄인 취급… 답답”
[충청투데이 송휘헌 기자] ‘전기차 화재 포비아(공포)’가 확산하면서 온실가스 감축 목표로 진행되는 친환경차 보급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전기차 포비아는 인천광역시 청라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등 잇따른 화재 사건으로 확산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전기차 지하주차장 이용을 두고 시민들 간 갈등은 계속되고 있는 분위기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방자치단체는 뾰족한 방안이 없어 정부의 전기차 관련 종합대책이 나오기 만을 기다리며 동향만 파악하고 있는 실정이다.
20일 청주시 연도별 전기차 보급 현황(승용·화물)에 따르면 2021년 1737대, 2022년 3646대, 2023년 2673대 등의 보조금을 집행했다. 매년 정부에서 배정해 준 전기차 보조금 물동량을 모두 소화한 것이다.
올해는 전기차 배정물량 3130대 중에서는 1511대가 보급됐다. 또 538대는 확정 물량으로 계약 이후 차량 출고를 기다리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현재 약 1100대 정도의 전기차 물량이 남아있지만 물량을 전부 소화할 수 있는지 물음표가 찍힌다.
시는 전기차 보조금 신청의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지 않지만 향후 추이를 지속해서 살피겠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아직까지 전기차 관련 문의도 들어오는 상황이고 정부 보조금 물동량 소진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그러나 전기차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계속돼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9월에 전기차 안전 관련 종합대책을 발표할 것으로 예고해 이후 청주시에 상황에 맞는 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시의 설명과는 다르게 현장에서 전기차의 인기가 싸늘하게 식고 있다는 전언이다.
청주의 한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개인마다 차이는 있지만 화재 사건 이전에 1달에 3~5대의 전기차를 출고했다고 하면 화재사건 이후 1대만 출고해도 다행인 상황"이라며 "전기차 관련 문의도 거의 없다고 보면 될 것 같고 미리 해둔 계약마저 포기하는 사람도 많다"고 전했다.
시민들 간의 갈등은 계속되는 분위기다. 주차를 놓고 아파트를 넘어 상가, 병원 등 지하에 주차를 금지하는 분위기도 퍼지고 있다.
청주시에 거주하는 A 씨는 "전기차 안전대책이 마련될 때까지는 불편하겠지만 아파트, 상가 등의 지하에는 주차를 하면 안 된다고 본다"며 "만에 하나라도 화재가 발생하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기차 운전자 B 씨는 "지상주차장도 별로 없고 대부분은 지하로 주차장을 만든 상태에서 이를 제지하면 차를 댈 수 있는 곳이 정말 없다"며 "환경을 생각해 전기차를 권할 때는 언제고 이제는 죄인 취급을 받고 있으니 정말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송휘헌 기자 hhsong@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