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까지 도내 17개사 29억원 피해

티몬과 위메프의 대규모 판매대금 정산 지연이 이어지고 있는 지난 7월 31일 오후 서울 강남구 위메프 본사 문이 잠겨 있다. 2024.7.31 사진=연합뉴스.
티몬과 위메프의 대규모 판매대금 정산 지연이 이어지고 있는 지난 7월 31일 오후 서울 강남구 위메프 본사 문이 잠겨 있다. 2024.7.31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김영재 기자] 충북도가 소셜 커머스 기업 티몬·위메프 정산지연사태(이하 티메프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도소매기업 6만개가 티메프사태에 물렸다는 얘기가 돌면서 지역경제에 미칠 파장을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티메프사태는 온라인 판매를 중개한 티몬과 위메프가 물건을 대 준 업체에 정산을 하지 못해 발생한 일이다.

물건을 산 고객이 비용을 티몬과 위메프에 지불했는데, 이 두 회사가 생산업체에 이 돈을 제때 전달하지 않은 것이 일시에 몰리면서 일이 터졌다.

6일 충북도에 따르면 충북도가 지난 1일부터 기업애로지원센터를 통해 티메프사태 피해 신고를 받고 있는데 5일까지 17개 업체에서 29억여원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한 음료유통기업은 피해액이 18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충북도는 조사가 계속 진행되는 상황이어서 피해 규모는 더 늘 것으로 보고 있다.

충북도는 피해기업들이 중소 도소매기업이어서 티메프사태가 자칫 연쇄부도로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충북도는 이에 도내 피해기업에 특별운영자금을 긴급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문제는 충북도가 피해기업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적기 자금지원에 이뤄져야 하는데 티몬과 위메프가 기업정보라는 이유로 입점기업 공개를 꺼리는 점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피해기업 중에 소규모 업체가 많아 사태에 제대로 대응하기 힘든 것으로 보이는데 티몬과 위메프가 관련 정보 제공에 비협조적이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도는 피해기업이 특별운영자금을 신청하면 관련절차를 신속히 밟아 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위원회와 중소벤처기업부도 이날 이 티메프사태와 관련해 정책금융기관의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 사전 신청을 오는 9일부터 받는다고 밝혔다.

김영재 기자 memo34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