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권 독립 이후 ‘주먹구구식’ 운영
지난해 폭우때 의장 지시따라 움직여
의원들 피해·우려지역 알아서 찾아가
유형별 대응·근무체계 등 필요성 대두
“집행부와 협의통해 매뉴얼 구축 계획”

청주시의회 전경[연합뉴스 자료사진]
청주시의회 전경[연합뉴스 자료사진]

[충청투데이 송휘헌 기자] 청주 지역에 지난해 오송 참사, 폭우 피해 등 자연재해가 속출했지만 청주시의회는 자연재해 등 재난 대응 관련 매뉴얼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청주시의회는 2022년 집행부로부터 인사권 독립 뒤 업무 분장 등을 했지만 주먹구구식으로 운영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충청투데이 취재 결과 청주시의회의 자연재해 등 재난매뉴얼이 없다. 청주에 지난해 오송 참사 등 사고와 지역 곳곳에 침수 피해가 발생했지만 시민의 대의기관인 의회는 손을 놓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이러한 재난매뉴얼 부재로 지난해 폭우에는 김병국 전 의장의 지시에 따라 움직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의원들도 지역구 등의 피해 지역이나 우려 지역을 스스로 알아서 찾아가는 형편이다.

특히 의회 사무국 등 직원들도 ‘재난매뉴얼’ 유무 여부도 모르고 있으며 막연히 있을 것이라는 생각만 가지고 있었다. 재난매뉴얼 관련 질문에 복수의 시의회 관계자는 "재난매뉴얼은 관련 부서에서 관리하고 있을 것이고 없진 않을 것"이라며 "폭우 등의 예보가 있으면 직원들이 자체적으로 남아서 상황 전파 등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변했다.

시가 시설물, 인명 등 피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의회는 대의기관이라는 특성에 맞는 재난매뉴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재난 유형별(사무국, 상임위원회 등) 대응 계획, 단계별 근무 체계, 재난관리기관 현황 등의 체계 구축으로 의정 활동을 지원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의회 관계자는 "지난주 회의에서 의회 재난매뉴얼이 부재하다는 안건이 나와 집행부와 협의해서 매뉴얼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집행부인 청주시는 초기대응, 상황판단회의, 비상 1~3단계로 나눠 재난 발생 시 대응을 하고 있다. 또 상황에 따라 100여명에서 400여명까지 근무하게 돼 있는 표준행동요령보다 2~3배 많은 인원을 투입해 자연재해 대응을 하고 있다.

송휘헌 기자 hhsong@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