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경찰청 앞 기자회견 열고 촉구
순직 인정에도 관련자 무혐의 결론
“재수사 통해 교권 바로세워 주길”

1일 전국 교원단체들이 故 대전 용산초등학교 교사 사건과 관련 경찰은 수사 결과를 전면 재검토하고, 검찰은 이의신청서를 면밀히 살펴 재수사를 지시할 것을 촉구했다. 대전교사노조 제공
1일 전국 교원단체들이 故 대전 용산초등학교 교사 사건과 관련 경찰은 수사 결과를 전면 재검토하고, 검찰은 이의신청서를 면밀히 살펴 재수사를 지시할 것을 촉구했다. 대전교사노조 제공
1일 전국 교원단체들이 故 대전 용산초등학교 교사 사건과 관련 경찰은 수사 결과를 전면 재검토하고, 검찰은 이의신청서를 면밀히 살펴 재수사를 지시할 것을 촉구했다. 대전교사노조 제공
1일 전국 교원단체들이 故 대전 용산초등학교 교사 사건과 관련 경찰은 수사 결과를 전면 재검토하고, 검찰은 이의신청서를 면밀히 살펴 재수사를 지시할 것을 촉구했다. 대전교사노조 제공

[충청투데이 조정민 기자] 전국 교원단체들이 故 대전 용산초등학교 교사 사건과 관련 경찰은 수사 결과를 전면 재검토하고, 검찰은 이의신청서를 면밀히 살펴 재수사를 지시할 것을 촉구했다.

1일 초등교사노조와 대전교사노조 등 교원단체들은 대전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재수사를 통해 남아있는 가족들의 한을 풀고, 학교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는 선생님들에게 희망을 마련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전국국공립유치원교사노조, 전국중등교사노조, 전국특수교사노조 등 전국 단위 노조와 경북, 대구, 부산, 서울, 세종, 충남교사노조 임원진 등 총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발언을 이어갔다.

먼저 유족대리인 박상수 변호사는 “서이초, 호원초에 이어 또다시 안일한 수사기관 발표가 이어졌다”며 “선생님들이 목숨을 잃게 될 정도의 고통이 범죄 수준이 아니라는 경찰 입장에 동의할 수 없어 이의신청을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연대발언에 나선 이미희 경북교사노조위원장은 “부디 경찰은 재수사에 착수해 더 객관적으로 사건을 조사하고, 한 사람을 죽음까지 이르게 한 가해자가 누구인지 혐의를 가려 전국 교사들이 법의 보호 아래 교육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주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정재석 전북교사노조 위원장 역시 “교사들이 학부모에게 교육활동 침해를 당했을 때 보호해주는 것이 동료 교원의 자세”라며 “교장, 교감선생님의 행동이 악성 민원으로 죽어가는 교사를 살릴 수 있음을 명심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날 기자회견 후 초등교사노조와 대전교사노조, 유족 대리 변호사는 대전경찰청에 수사 결과 전면 재검토 요청서를 전달했다.

한편 지난달 25일 故 대전 용산초 교사의 순직이 인정되며 고통받는 교사들에게 위로가 됐지만, 故 신목초, 故 무녀도초, 故 호원초 교사들의 순직 신청이 인정되지 않은 점에서 많은 아쉬움을 남겼다.

이에 교원단체들은 기자회견을 통해 교사 순직 인정 제도 개선으로 교사들의 명예를 회복하고, 안전하게 교육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촉구했다.

조정민 기자 jeongmi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