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창간 34주년의 아침에 충청을 대변하는 신문으로서의 사명을 충실히 수행해왔는지 되돌아보게 한다. 충청의 발전을 위해서 불철주야 달려왔음에도 부족함을 느낀다. 무엇보다 여야의 정쟁 속에 여러 충청현안들이 좌초되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울분을 토했던 게 한 두 번이 아니다. 우리는 결코 실망하지도, 포기하지도 않을 것이다. 때릴수록 단단해지는 강철처럼 충청의 발전이라면 어떤 고난과 역경도 헤처나갈 것임을 분명히 약속한다.

‘충청의 미래’라는 슬로건을 정한 까닭이다. 수도권 일극화와 지방소멸 위기 대응은 당면과제이다. 지역이 처한 현실을 미래세대에 그대로 물려줄 수는 없는 노릇이다. 작금의 의료분쟁 중심에 지방이 있다. 농촌지역 주민들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지방의료원은 구인난을 겪고 있는지 오래다. 아이를 낳으라고 하면서 정작 소도시에는 산부인과가 없다. 이러니 청년들은 도시로 빠져나가고, 마을이 텅 비는 것 아닌가. 정주여건 개선이 급선무로 떠오른다.

지역의 지속 성장을 위해서는 굴지의 기업을 유치해야 한다. 2022년 기준 전국 사업체 본사·본점의 충청권 입지율은 9.6%에 불과하다. 지역의 기업 생태계가 얼마나 열악한지 단적으로 보여준다. 희망은 있다. 대한상의 설문조사 결과 수도권 기업 51.4% 가 투자 선호지역으로 충청권을 꼽은 것이다. 관건은 어떻게 유치하느냐다. 우리는 지자체, 상의 등과 긴밀히 협력해 기업유치 및 일자리 창출에 나설 것이다. 충청투데이는 지난해 ‘충청권 일자리 페스티벌’을 개최해 1만3649명이 행사장을 찾을 정도로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충청권 메가시티 조성은 대전, 세종, 충남·북을 하나의 경제 공동체로 묶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최근 행정안전부가 전국 최초로 규약을 승인하면서 탄력을 받고 있다. 메가시티는 정부의 전폭적인 재정지원이 전제 돼야 한다. 21대 국회의 방기로 폐기 수순에 들어간 세종지방법원 설치법, 대전교도소 이전 예타 면제 법률 개정안, 석탄화력발전소 폐지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 등 충청현안은 화급을 다툰다. 충청투데이는 정부예산 확보와 관련 법안 처리에 앞장설 것임을 다짐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