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 교육 백년지대계를 보다]
2006년 이후 18년 만에 의대 정원 확대 화두 떠올라
충청권 기존 7개 의대 정원 421명→838명 약 2배 늘어
지역인재전형 선발 비율 60% 안팎 확대 ‘유학 붐 올 듯’
교육발전특구 1차 시범지역 충청권 8개 지역 모델 선정
대전시, 혁신 산업인재 중점 육성 목표… 1369억원 투입
아산시, 창의 융합형 글로벌 인재 양성 비전 정주 강화
교육부, 글로컬대학30사업 충청 미래교육 명운 걸려
작년 충청권서 충북대-교통대 ‘통합’ 모델만 본지정
올해 충남대-한밭대‘통합’·한남대·건양대·순천향대
대전보건대 ‘연합’ 예비지정… 8월경 결과 발표 귀추 주목

왼쪽부터 대전광역시교육청,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충청북도교육청,충청남도교육청
왼쪽부터 대전광역시교육청,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충청북도교육청,충청남도교육청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옛 말에 교육은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라는 말이 있다. 농사를 짓는 데는 1년의 계획이 필요하고 나무를 심는 데는 10년의 계획이 필요하며 사람을 키우는 데는 100년의 큰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의미다. 다시 말하면 교육은 미래 100년을 좌우할 큰 일로, 그에 맞게 길고 큰 그림을 그려야 한다는 뜻이다. 빠르게 변화는 현대 사회에서 국가 간 치열한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면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교육정책이 반드시 필요하다. 저출생으로 인한 인구소멸 위기에서는 교육의 중요성은 더 커질 수 밖에 없다. 충청투데이는 창간을 맞아 백년지대계인 충청권 미래 교육을 전망하고, 향후 지역 교육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봤다. -편집자주-


◆의대 정원 내년부터 2배 증가, 충청권 유학 붐 오나

올해 교육계의 화두는 단연 의대 정원 증원이다. 2006년 이후 18년 만에 확대다.

3058명이던 전국 의대 정원은 현 고3이 치르는 2025학년도 대입에서 4610명으로 대폭 증가한다.

충청권의 경우 기존 7개 의대 421명에서 838명(정원외 포함)으로 2배 가까이 모집 규모가 커진다.

대학별 의대 정원 변화는△충남대 2024학년도 110명→2025학년도 158명 △충북대 49명→126명 △순천향대 93명→154명 △49명→건양대 102명 △을지대 40명→106명 △건국대 글로컬캠퍼스 40명→110명 △단국대 천안캠퍼스 40명→82명 등이다.

특히 직전까지 40~50%대이던 지역인재전형 선발 비율이 이번부터는 60% 안팎으로 확대된다. 단 본교 소재지가 수도권인 단국대 의대는 제외다.

충청권 의대의 2025학년도 지역인재 선발 인원은 △충남대 93명 △충북대 76명 △순천향대 96명 △건양대 68명 △을지대 65명 △건국대 글로컬캠퍼스 66명 등이다. 지역인재전형은 해당 지역에 거주하며 그 지역 고등학교를 나온 학생만 지원할 수 있는 것으로, 대전·세종·충남·충북이 한 권역이다.

총정원의 2배, 지역인재전형의 60%가 늘면서 충청권에서 자녀의 의대 진학을 위한 유학 붐이 일지 관심이다. 종로학원에 따르면 충청권의 올해 고3 학생수 대비 2025학년도 지역인재 선발 규모는 0.96%이다.

지역 학생 100명 중 1명은 이 전형으로 지역의대에 갈 수 있는 것이다. 충청권의 이 비율은 강원권 1.25%, 호남권(광주·전남·전북) 1.01% 다음으로 세 번째로 높다.

최고치는 아니지만 수도권과의 접근성과 지역 내 인프라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면 충청권에서 유학 열풍이 커질 수 있다는 것이 입시업계의 예측이다.


◆지역에서 나고 자라 지역에 정주…공교육 혁신모델, 교육발전특구 본격화

수도권은 갈수록 비대지고 있는 반면 지방은 소멸위기에 처했다. 교육 혁신을 통해 지역소멸을 막기 위한 교육발전특구가 도입된 배경이다.

수도권의 도시화율은 97.1%로 압도적이다. 충청권(83.1%), 제주권(82.0%), 강원권(73.9%) 등과 비교된다. 우리나라 인구의 50% 이상이, 2022년 기준 전체 사업체의 49.1%인 301만개가 수도권에 몰려있다.

청년들은 진학을 위해, 직장을 얻기 위해 수도권으로 향한다. 지방소멸을 위해 지자체, 시도교육청, 지역기업, 지역대학 등 혁신주체들이 머리를 맞댔다.

그 결과가 바로 최근 1차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충청권 8개 지역의 혁신모델들이다.

충청권에선 △대전 △충남 서산 △충남 아산 △충북 충주 △충북 제천 △충북 옥천 △충북 진천·음성 △충북 괴산이 교육발전특구 1차 시범지로 선정됐다. 대전과 충북 충주, 진천·음성은 선도지역으로, 충남 서산과 아산, 충북 제천과 옥천, 괴산은 관리지역으로 지정됐다. 선도지역은 3년의 시범운영 후 교육발전특구위원회 종합평가를 거쳐 교육발전특구로 정식 지정되며 관리지역의 경우 매년 연차 평가를 통해 강화된 성과관리 등을 받는다.

먼저 선도지역 대전은 혁신 산업인재 중점 육성 등 지역에 좋은 일자리가 넘치고, 기업이 성장하며 청년이 행복한 도시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대전은 시범사업 기간을 포함, 올해부터 오는 2028년까지 5년간 국비 500억원, 지방비 764억원 등 총 1369억원을 투입한다.

주요 사업으로는 △대전형 초·중급 숙련 기술 인재양성 △생애경로 설계(고교-대학-기업 연계) △지역산업 맞춤형 희망인재 양성 △RISE사업과 연계한 시스템 구축 △모두에게 제공되는 직업교육 △대전형 늘봄서비스 △미래혁신 청년 숙사 운영 △정주여건개선△ 시와 교육청 협업체계 구축 사업 등이 있다.

충남 서산은 ‘더 선 라이징 교육발전특구 조성’을 비전으로 ‘지역발전 전략과 연계한 특화된 교육을 통해 지역인재 양성과 지역 균형발전’을 목표로 설정했다.

충남 아산의 경우 ‘지역 밀착형 교육으로 창의 융합형 글로벌 인재 양성’을 비전으로, 목표는 ‘늘봄부터 취업까지 지역 정주 강화를 위한 생태계 구축’으로 잡았다.


◆지정만이 살길이다, 충청에도 글로컬대학 생길까

교육부의 글로컬대학30 사업은 충청권 미래교육의 명운이 걸린 사업이다.

모든 지역과 대학에 중요하겠지만, 지난해 단 한 곳도 올리지 못한 대전·세종·충남은 특히 간절하다.

글로컬대학은 고등교육 혁신을 이끌 비수도권 대학에 5년간 1000억원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10곳에 이어 올해 10곳, 내년 5곳, 2026년 5곳이 지정된다.

정부 입장에선 세계적 경쟁력을 갖출 대학을 육성하는 목적이지만, 각 지역엔 막대한 재정 지원에 힘입어 그 지역의 교육 거점을 세우는 것이기에 의미가 남다르다.

또 단순히 연 200억원뿐만 아니라 교육부가 인증한 명문 대학이라는 수식어가 있어 신입생 모집과 각종 지원 사업에서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업 원년인 지난해엔 10개 모델 14개 대학이 지정됐는데 충청권에서는 충북의 충북대와 교통대만이 통합 모델로 본지정됐다.

한 차례의 실패를 맛본 대전·세종·충남은 절치부심의 각오로 올해 추가 지정을 준비했고, 지난 4월 충남대-한밭대(통합), 한남대(단독), 건양대(단독), 순천향대(단독) 등이 1차 관문 격인 예비지정에 통과했다.

전문대 중에선 대전보건대가 사학법인이 같은 대구보건대, 광주보건대와 연합 형태로 예비지정됐다.

이들 대학은 함께 예비지정된 20개 모델(33개 대학)과 경쟁에서 살아남아야 하는데 그 결과는 오는 8월경 나올 예정이다. 내년부터는 연 5개 모델만 지정되기에 올해가 아니면 어렵다. 충청권, 특히 대전·세종·충남에서도 지난해의 설움을 딛고 글로컬대학이 탄생할지 주목된다.

최윤서·김중곤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