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중 실시설계 거쳐 증액 예상
지난해 말까지 물가상승분도 반영
원자재 가격·인건비 상승… 공사비↑
적정공사비 반영 여부 최대화두로

대전 트램 건설사업 추진경과. 그래픽=김연아 기자. 
대전 트램 건설사업 추진경과. 그래픽=김연아 기자.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1조원 이상이 투입되는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공사의 발주를 목전에 두고 지역 건설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내달 중 실시설계 등 절차를 거쳐 사업비가 더욱 늘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지역 건설업체들의 참여 가능성이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28일 대전시에 따르면 도시철도 2호선 트램에 대한 실시설계가 마무리단계에 접어들어 내달 중에는 기획재정부와 총사업비 협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시는 총사업비 협의가 완료되는 대로 공사를 발주할 계획이다.

앞서 트램 총사업비는 2020년 기본계획 승인 당시 7492억원에서 지난해 기재부 총사업비 조정 기준금액 협의를 거쳐 2배 가량 늘어난 1조 4782억원으로 대폭 확대됐다.

서대전육교, 테미고개, 자양고개 등 일부 구간의 지하화와 연축지구 연장 등 노선 조정, 10개 정거장 추가, 완전 무가선 수소 트램 도입 등이 반영된 결과다.

여기에 2021~2022년 물가상승분(691억원)도 반영됐다. 실시설계를 거치면 총사업비는 더욱 늘 것으로 전망된다.

노선이나 정거장 수 등의 변화는 없지만 상세설계를 거쳐 사업비가 변동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 과정에서 지난해 말까지의 물가상승분도 반영될 예정이다.

총사업비 중 2948억여원은 우선 무가선 수소 트램 차량 제작을 위해 투입됐으며 내달 7~11일 제작사 선정을 위한 입찰이 진행될 예정이다.

시는 토목·건축 등 공사에서 지역 업체의 참여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발주 구간을 세분화하고 전기, 통신 공사 등을 분리 발주하겠다는 입장이다.

앞서 기본·실시설계 용역은 4개 공구와 전기·신호·통신 분야로 나눠 추진됐지만 공사 발주는 이와 다르게 사업비와 노선 구간 등을 고려해 세분화될 예정이다.

업계의 관심은 이번 실시계획을 통한 사업비 증액 규모에 맞춰져 있다.

업계 안팎에선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상승 등 여파에 공사비가 급등하면서 공공공사 참여 시 자칫 손해를 볼 수도 있다는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이 때문에 공구 분할과 함께 적정공사비 반영 여부가 도시철도 2호선 트램에 대한 최대 화두로 급부상한 상태다.

시 관계자는 "상세설계를 하면서 사업비 변동이 있을텐데, 기재부와 협의를 어느 정도 진행해 반영돼야만 공사비가 최종적으로 확정된다"며 "현재 기본계획과 관련해 확정 통보된 사업비보다는 조금 더 오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