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비 상승·사업성 부족 등 영향
광주 도시철도 2호선 세차례 유찰
100억원 이상 적용 표준시장단가
대전 업계들 현실화 목소리 높아

대전 도시철도 2호선 수소연료전지 트램 이미지. 대전시 제공.
대전 도시철도 2호선 수소연료전지 트램 이미지. 대전시 제공.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공사의 발주를 앞둔 가운데 적정공사비 반영 여부가 최대 관건이 될 것이란 건설업계의 전망이 나오고 있다.

최근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건설사업이 공사비와 사업성 부족 등으로 인해 유찰되면서 공공공사의 공사비 현실화 문제가 지역 건설업계에서도 화두로 떠올랐다.

28일 업계 등에 따르면 광주 도시철도 2호선 2단계 건설사업 중 2개 공구는 지난해 8월부터 시공사 선정에 나섰지만 세 차례 유찰됐다.

사업은 지역 업체의 참여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40% 이상의 지역 업체 공동도급 의무 비율을 설정하고 공구를 세분화, 총연장 20㎞에 8개 공구로 나눠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인건비와 원자재 가격 등 공사비 상승과 사업성 부족 등으로 인해 발목이 잡혔고 적기 개통 가능성 역시 불투명한 상태에 놓였다.

특히 일부 업체는 입찰 과정에서 예정가격보다 높은 금액을 제시해 유찰되기도 한 것으로 파악됐다.

대전지역 업계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두고 곧 발주 예정인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에 대한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다.

공사비 급등세가 여전한 가운데 대전의 트램 건설공사에 적정 수준의 공사비가 반영될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 상태다.

지난 3월 기준(잠정) 교통시설 토목공사의 건설공사비지수는 당초 대전시가 트램 기본계획의 승인을 받았던 2020년(117.55·공사비원가관리센터)보다 38.96% 상승했다.

앞으로도 국내외 정세로 인해 원자재 가격이 오름세를 보일 전망인 만큼 전반적인 공사비 역시 동반상승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최근 정부도 공공공사 적정공사비 반영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용역 등 해결 방안 마련에 나섰지만 곧 발주를 앞둔 트램의 경우 시기상 적용이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트램의 발주 과정에서 적정공사비 반영을 위해 선제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우선은 100억원 이상 공사에 적용되는 표준시장단가에 대한 현실화가 시급하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표준시장단가 역시 매년 상승하고 있지만 100억원 미만 공사에 적용되는 표준품셈에 비해 단가가 낮은 데다가 실제 시장단가와도 큰 격차를 보인다는 이유에서다.

이와 함께 사업비를 증액하지 않은 상황에서 일률적으로 공구를 나눌 경우 공사 전반의 준비에 필요한 간접비가 줄어 시공에 문제가 생길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또 업계에서는 실시설계 과정과 이를 심의할 기술심의위에서 기술공법이나 전체 예산에 관한 문제보다 공사비의 적정성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다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역 한 업계 관계자는 "최근 부동산 경기 악화로 업체들이 선뜻 신규 사업에 나서지 않고 있다"며 "공사비가 적정한 수준으로 책정되지 않는다면 지역 업체가 참여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줘도 선뜻 나서기 힘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