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 몰린 벤처투자]
정부, 성장 기반 조성 로드맵 제시
투자보육 서비스 등 4대 전략 마련
지자체도 경쟁력 강화 위해 힘써
대전투자금융 설립·출자금 확대 실시

창업 상담. 사진=연합뉴스.
창업 상담.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벤처·창업 생태계의 수도권 집중현상이 심각한 가운데 중앙·지방 정부에서는 지역의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먼저 정부는 13일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지역 성장지원 서비스 경쟁력 강화방안’을 통해 지역 창업생태계의 자생력 확보 및 성장기반 조성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했다.

이번 정부안은 △투자보육 서비스 경쟁력 강화 △전문서비스(법률·회계 등) 공급지원△성장지원 인프라 조성 △벤처창업기업 자금조달 기회 확대 등 4대 전략, 25개 정책 과제를 골자로 한다.

이와 함께 지자체에서도 지역 내 벤처창업 생태계 조성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에 열을 올리고 있다.

먼저 대전은 지역 벤처투자활성화를 위해 추진 중인 ‘대전투자금융㈜’ 설립을 위한 주요 행정절차를 마치고 법인설립을 위한 임원 공모 등의 절차를 진행 중이다.

대전시가 오는 7월 개관을 계획 중인 ‘대전투자금융㈜’은 2030년까지 운용자금 5000억원 확보를 목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벤처투자의 지역 불균형을 해소하고 투자선순환체계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충북은 지역 창업생태계 허브 조성을 목표로 지난 3월 ‘2024년 충북 혁신창업 활성화 시행계획’을 수립했다.

이번 시행계획은 △지역 혁신창업 허브 구축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 △안정적·지속가능한 자금투입 △창업 인재 양성 및 상생협력 저변 확대 등 4대 전략을 골자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올해 도는 충북창업펀드 1000억 조성 등 71개 세부 과제 사업에 총 2328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충남도에서도 ‘벤처 투자와 기술 혁신의 중심, 충남’을 목표로 지역 벤처 투자 생태계 구축 및 활성화에 나섰다.

이를 위해 도는 지난해 5억원 수준이었던 벤처투자조합 출자금을 올해 100억까지 확대했으며 출자금은 △탄소중립 △모빌리티 △혁신산업 △초기창업 등 4개 펀드에 투입된다.

도는 정책금융 및 민간출자와 연계해 올해 펀드 운용자금 1000억원 조성을 계획 중이며 오는 2031년까지 펀드운용 규모 1조원 조성을 달성한다는 구상이다. 이와 함께 천안아산 연구개발 집적지구 내 벤처·창업 협력단지 구축을 위한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스타트업 파크 조성 공모 사업’도 유관기관과 협력해 준비 중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펀드 출자와 함께 IR(기업설명회) 기회 확대, VC(벤처캐피털) 네트워킹 지원 등을 통해 벤처생태계 활성화의 기회를 마련할 것"이라며 "출자금도 중장기적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투입해 규모를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