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 몰린 벤처투자]
금융·인력·시설 인프라 등 지원안 제시
“지원기관 간 네트워킹 중요” 목소리도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벤처·창업 생태계의 ‘수도권 일극 체제’를 타파하기 위한 ‘지역 벤처·창업 생태계’ 육성의 필요성이 대두된 가운데 지역에서는 ‘실질적인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먼저 지역 경제계에서는 ‘비수도권 벤처·창업 생태계’ 육성에 힘을 들이고 있는 중앙·지방 정부에 대해 ‘지역 특색을 살린 정책’을 강조했다.
지역의 특색을 맞춘 정책이 기본으로 다각적인 지원이 동반돼야 벤처·창업생태계를 육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병순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 회장은 "비수도권 벤처 생태계 육성 정책은 각 지역의 특색을 살린 방안이 기본이 돼야 한다"며 "이를 토대로 현장 기반의 지원과, 파격적인 금융·세제 지원 등 다각적인 관점에서의 정책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재와 자본이 수도권에 몰리면서 벤처·창업 생태계의 지역 간 불균형이 심화된 것인 만큼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정부와 민간이 협력 방안을 긴밀히 구상해야 할 것"이라며 "민간 중심의 투자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도 세밀하게 고민해야 혁신기업과 스타트업이 비수도권에서도 성장할 수 있다는 선례가 늘어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는 △금융 △인력 △시설인프라 등 벤처·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복합지원의 필요성을 제언했다.
벤처·창업 전반에 대한 지원이 있어야 기업 육성과 벤처투자 유입 등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조복현 한밭대 경제학과 교수는 "벤처·창업 생태계 육성을 위해선 금융, 인력, 입지, 기술 정주여건 등 벤처·창업기업들의 다양한 욕구에 대한 충족이 이뤄져야 한다"며 "대전의 경우 연구단지가 있어 기술창업에 유리한 도시지만 이러한 발판이 잘 마련돼 있지 않았기 때문에 창업 기업의 발전이 쉽지 않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역에서 나오는 여러 욕구에 대한 충족이 동시에 이뤄져야 시너지를 발휘해 기술벤처 단지로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벤처·창업 지원을 담당하고 있는 지원기관들의 시너지 효과를 위한 네트워킹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각 기관이 가진 역량이 협력과 조정을 통해 실질적인 지원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정철호 목원대 경영학과 교수는 "정부·지자체 차원의 지원확대도 중요하지만 지역의 벤처·창업 지원기관이 지원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다"며 "각 지원기관들의 역할을 조정하고 협력체계를 구축할 네트워크를 만들고 컨트롤타워를 구축해 벤처기업의 성장단계와 분야에 맞춘 종합지원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