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NGO지원센터서 총선평가토론회
공천 잡음·부동산 투기 의혹 등 판세 영향
선거후 과제 권위주의 통치방식 변화 꼽아
[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대전지역 시민단체들이 한자리에 모여 제22대 국회의원선거 결과와 시민사회의 활동을 평가했다.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와 대전시민사회연구소는 23일 대전시 NGO지원센터 모여서 50에서 ‘2024 대전 총선평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앞서 치러진 제22대 국회의원선거 결과와 총선 기간 동안 각 시민사회 영역의 활동을 평가하기 위해 마련됐다.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대전지역 시민사회단체의 연대단체로 이날 대전사회적경제비상회의, 대전공동체비상회의 등이 참여했다.
이날 포럼에선 먼저 민병기 대전시민사회연구소 소장이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와 한국의 민주주의’를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민 소장은 “이번 선거 과정에서 지역개발, 청년정책, 의대 증원 등의 정책들이 종합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이르지 못했다”며 “또 여성, 기후위기 대응, 대북정책, 감세정책 등 주요 의제에 대한 논의가 부족했다”고 꼬집었다.
민 소장은 공천 잡음, 부동산 투기 의혹 등 후보들의 리스크, 제3지대 실패와 조국혁신당의 지지율 상승 등을 선거 판세에 영향을 준 요인으로 봤다.
그러면서 선거 후 과제로 정부에는 권위주의 통치방식의 변화, 정당정치는 대화와 타협의 정치문화 정착, 지역 시민사회에는 정책·입법로비 활동 구체화 등을 제언했다.
이어 김재섭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운영위원장은 제22대 총선에서 지역 시민사회와 시민단체의 역할·활동을 정리했다.
김 위원장은 “이번 선거에서 시민단체의 역할은 과거에 비해 대폭 축소돼 정책선거는 찾아보기 어려웠고 시민사회 출신이라고 이름을 내건 후보들에게서도 기존의 양당의 정치 행태와 차이점을 찾기 어려웠다”며 “중장기적인 시민사회 정치적 전략을 마련하고 시민단체의 시민적 신뢰를 회복하며 더 많은 시민과 접촉면을 늘려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현우 대전사회적경제비상회의 상임대표는 사회적경제 영역의 총선 대응 측면에서 “이번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이 대전 지역구를 석권한 것은 사회적경제를 포함한 시민사회와 연대, 균형발전에 대한 기대가 컸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앞으로도 지역사회와 중앙정치 영역에서 사회적경제의 역할과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이미라 대전공동체비상회의 상임대표는 공동체 3번 입법운동과 유권자 운동을 주제로 “총선 유권자 공동행동을 통해 정책 협약, 공동체 3법 인식 변화 등의 성과가 있었다“며 “향후에도 지속적인 공동체 3법 입법화 운동과 건전한 마을생태계 조성 및 확장 등을 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발표가 끝난 이후에는 각 주제별 발표자와 토론회 참여자들이 자유 토론이 이어졌다.
서유빈 기자 syb@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