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발전 폐지지역 지원 특별법’ 절실
아산만, 대한민국 4차산업지대로 조성
스마트팜 확대·고령은퇴농연금제 추진
내포신도시, 수도권 공공기관 유치 온힘

베이밸리 메가시티. 충남도 제공
베이밸리 메가시티. 충남도 제공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3년차에 접어드는 2024년의 민선 8기 충남도정은 탄소중립, 4차 산업, 농업 등 분야에서 미래 먹거리의 기반을 다진다.

탄소중립 분야에선 지난해 국회에 발의된 ‘석탄발전 폐지지역 지원 특별법’을 올해 제정하겠다는 각오다.

이 법안은 국가계획으로 석탄화력발전소가 문을 닫는 지역에 정부 차원의 합당한 보상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내용이다.

전국 석탄화력발전소 58기 중 29기가 위치해 있고, 또 이중 14기가 정부의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2036년까지 단계적으로 폐쇄하는 충남 입장에선 해당 법안이 절실하다.

화력발전소 폐쇄 이후의 충남을 보호할 석탄화력 폐지지역 지원 특별법이 2024년 국회 문턱을 넘을지 주목된다.

4차 산업 분야에선 베이밸리 메가시티가 핵심이다.

이는 천안·아산·당진·서산 등 충남 남부권과 평택·화성·안성·오산 등 경기 남부권을 아우르는 아산만을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수소 등 대한민국 4차 산업지대로 만드는 사업이다.

지난해까지 충남도는 경기도와 아산만에서 협력할 사업을 모색했다면, 2024년부턴 구체적인 사업을 확정하고 본격적인 베이밸리 조성에 나설 계획이다.

상반기 중 경기와 베이밸리 비전 선포식을 열며 베이밸리 건설의 원년으로 삼는 것이다.

충남은 디스플레이, 수소, 도심항공교통(UAM) 등 개별 산업의 고도화도 추진한다.

디스플레이 분야로는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및 생태계 구축’ 예비타당성조사를 2024년 상반기 중으로 통과하는 것을 노린다.

무기발광 디스플레이는 현재 상용화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OLED)를 뛰어넘는 초격차 기술이다.

충남은 디스플레이 국가첨단전략산업단지로 지정된 아산을 필두로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개발, 실증을 통해 중국에 빼앗긴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를 탈환하겠다는 복안이다.

또 내년 한국중발전과 SK E&S의 ‘보령 블루수소 플랜트가 첫삽을 뜨며 수소산업 경쟁력 강화에도 본격 나선다.

하루 수소 생산량이 25만t에 달하는 이 플랜트가 2026년 준공하면 이듬해부터 무탄소 전환을 이끌 수소터빈 시험연구센터, 생활 영역의 수소 비중을 높인 보령·당진 수소도시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충남은 내년 UAM 분야에도 도전장을 내며 서산을 중심으로 부품실증센터, 기체실증센터 등 구축을 추진할 예정이다.

농업 분야에선 스마트팜 확대, 고령은퇴농 연금제, 농촌 공동생활조성에 집중한다.

생산성 고도화를 통한 돈 되는 농업, 청년농 유입을 위해 충남은 내년 서산B지구에 40여 경영체를 수용할 수 있는 임대형 스마트팜을 조성하고, 540여 농가에 교육 및 입주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내년 스마트팜 증설, 교육, 금융 등 정책 지원의 폭을 넓힌다.

고령은퇴농 연금제는 농지를 내놓은 고령농에게 안정적인 소득을 보장하는 사업으로, 농업의 연령 구조를 고령에서 청년으로 전환하는 것이 핵심이다.

2024년 국가 차원에서 농지 1ha당 매도 연 600만원, 임대 연 480만원 등을 지원하는 가운데, 충남은 추가 재정 투입으로 각각 500만원, 350만원을 더 지급할 계획이다.

충남은 내포신도시의 정주기반 확대를 위해 올해 수도권 공공기관 유치, 전반적인 도시 재정비 등에도 역량을 쏟는다.

정부의 수도권 공공기관 2차 지방 이전 계획 발표가 올해 국회의원 선거 후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아직 단 한 곳의 기관도 받지 못한 내포 혁신도시는 타 혁신도시보다 많은 기관 확보를 노린다.

이를 위해 도는 34개 중점유치기관을 설정하고, 이중 충남 발전에 특히 필요한 13곳은 충남이 우선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정부에 정책적 배려를 건의하고 있다.

또 내포의 정주기반 강화를 위해 홍예공원 명품화, 녹지·공원 확대, 중심상업거리와 광장 등 전반적인 도시 재정비도 추진한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