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대전 28개 종교노동시민사회단체 최저임금 인상’촉구 기자회견 열어
지역 노동계 “노동시장 이중구조 해결 위한 방법은 최저임금 대폭 인상”
[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대전지역 노동계와 종교·시민단체가 최소한의 생계유지를 위해 내년도 최저임금을 1만 2000원으로 인상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2일 대전지역 28개 종교노동시민사회단체 및 정당은 대전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저임금 1만 2000원 인상을 촉구했다.
이날 단체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코로나19(이하 코로나) 위기 이후 4년 여 동안 경제성장률과 소비자물가 평균 상승률은 4.2% 정도인데 최저임금 평균 상승률은 3.6%로 오히려 실질임금이 하락했다”며 “정부는 최저임금 적용의 사각지대를 없애고 국민 모두가 기본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하라”고 밝혔다.
지난 3년간 최저임금 인상률은 전년 대비 △2021년 1.5% △2022년 5.05% △2023년 5.0% 등으로, 올해 인상률이 3.95% 이상일 경우 최저임금이 사상 처음으로 1만원을 넘어서게 된다.
앞서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은 올해보다 24.7% 높은 1만 2000원을 공식 요구했다.
모두발언에서 김율현 민주노총 대전지역본부장은 “경제위기 시기 물가 폭등에 정부는 공공요금 인상 폭탄으로 저임금 노동자들,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생존권을 지킬 수 없는 지경으로 내몰리고 있다”며 “정부는 노동시장 이중구조 문제를 해결해야 할 가장 핵심 과제로 이야기하고 있지만, 노동시장 이중구조에서 고통받고 있는 비정규직 노동자들, 중소 영세사업장 노동자들, 여성 노동자들의 임금 격차를 줄일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은 최저임금의 대폭 인상에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최저임금위원회 근로자위원 중 한 명인 박희은 위원이 참석해 구분 없는 최저임금 인상의 필요성을 피력하기도 했다.
박희은 최저임금위 근로자위원(민주노총 부위원장)은 “코로나19 시기에도 재벌들의 곳간에는 돈이 쌓여가는데 노동자와 서민들은 빚에 허덕이며 끼니를 걱정하고 있다”며 “플랫폼 프리랜서를 비롯한 특수고용 노동자들이 800만명 가까이 늘어나고 있다. 최저임금 업종별 구분 적용이 아니라 이러한 노동자들에게 적정 수준의 임금을 어떻게 보장할 것인지를 최저임금위에서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열악한 근무 환경 속에서 최저임금 인상이 절실하다는 지역 콜센터 근로자들의 호소도 나왔다.
권금정 국민은행 콜센터 고려지회장은 “국민은행 고객센터 도급업체 8개사 중에서 유일한 아웃바운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고려신용정보 직원들은 고객들의 개인정보 확인을 통해 출금까지 진행하는 업무를 맡고 있지만, 국민은행은 다른 고객센터와는 다른 급여체계를 적용하고 있다”며 “상담사에게 매년 책정되는 임단가는 호봉에 따른 경력 체계가 아니라 성적에 따른 인센티브로 경쟁을 부추기고 1인당 겨우 136만원의 단가가 책정돼 있으며 성공하는 한콜당 700원에서 1000원 정도에 그친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현재 8년차인데도 기본급은 최저임금보다 2만원 더 높은 수준이고 경력수당 7만 5000원이 전부다. 하루라도 보건휴가를 쓰게 되면 최저임금도 못 받는 달이 비일비재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민주노총 대전지역본부와 대전 28개 단체는 오는 8일 ‘최저임금 1만 2000원 쟁취 대전 도보 행진’을 진행하며 14일과 21일, 28일에 걸쳐 ‘모두의 최저임금 1만 2000원 대전지역 한마당’을 개최할 예정이다.
서유빈 기자 syb@cctoday.co.kr

전국민의 대부분이 대학교를 나오고 왠만하면 말은 잘 못해도 영어 읽을줄 아는 사람이 다수고, 컴퓨터 워드, 엑셀 기본적으로 할줄아는
젊은이들을 데리고
왜 자꾸 노동지향 일만 시키는거냐?
좀 고임금 받을수 있는 기업생태계를 구축해야 하지 않을까..
물론 그로인해 망하는 중소기업 많겠지... 그런기업에서 나온 인력들은 교육시키고
기업은 다른 고부가 가치 산업으로 전환할수 있게 도와줘야지.
맨날 택배, 배딜, 용접, 건설, 화물 운전, 식당, 편의점 .. 이럴려고 그렇게 어렸을때부터 공부시킨건 아닐꺼고.
공부 잘하는 사람들은
맨날 의사, 검찰 끝.
의사도 성형. 이게 뭐야?
이러면 나라가 성장하겠니. 다 가난해지지 말고 좀 바꿔보는건 어때.
다 부자될 가능성이 너무큰데 왜 이러고 사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