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새 모집 인원 3만 8000여명↓ 수도권선 3600여명 불과
정부 정원 감축 정책은 비수도권 중심 추진 "수도권도 줄여야"

대학교 강의실. 사진=연합뉴스.
대학교 강의실.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10년 새 줄어든 대학 신입생 모집 인원 3만 8000여명 중 90% 이상이 비수도권 대학에서 감축한 인원으로 파악됐다.

재정 지원을 미끼로 한 정부의 대학 정원 감축 정책이 비수도권만을 중심으로 추진되면서 지역대학의 고사 위기를 가속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입학시행계획에 따르면 2015년 전국 일반대의 모집 인원은 37만 9107명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35.8%(13만 5738명), 비수도권은 64.1%(24만 3369명)으로 집계됐고, 이중 충청권에선 7만 4433명(0.19%)을 모집했다.

그러나 10년 간 비수도권 대학 중심의 정원 감축이 지속되며 비수도권과 수도권의 모집 인원은 6대 4 비율에 근접하게 됐다.

2025년 모집 인원은 2015년 대비 3만 8173명이 줄어든 34만 934명으로, 이 가운데 수도권은 38.7%(13만 2126명), 비수도권은 61.2%(20만 8808명)을 차지했다.

전체 감소 인원 3만 8173명 중 90.5%(3만 4561명)는 비수도권 대학에서 감축된 수치다.

수도권 일반대 70여개교에서 10년 사이 감축한 모집 인원은 3612명(9.4%)에 그친다.

충청권 39개교에서 감축한 인원 7904명(20.7%)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

이와 관련해 대학가에서는 정부의 적정 규모화 계획 등 정원 감축 정책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정부는 표면상으로 ‘자발적 감축’을 독려하며 정원 감축에 나선 대학에 혁신지원사업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비교적 재정 여건과 충원율 상태가 나은 수도권 대학들의 동참은 드물고 사실상 비수도권 대학을 중심으로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지난해 9월 발표된 적정 규모화 계획에선 수도권 대상 대학 84개교(전문대 포함) 가운데 일반대는 단 6개교만이 감축에 동참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교육계 안팎에서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수도권 대학의 정원 외 모집 인원도 문제로 꼽고 있다.

2022학년도에 1만 2613명을 기록했던 수도권 대학의 정원 외 모집은 2025학년도 계획에서 1만 4304명으로 13%(1691명) 가량 치솟았다.

대학가에서는 수도권 대학들이 정원 감축 정책에도 미온적 태도를 보이는 가운데 정원 외 모집까지 늘려가자 정부가 지역대학의 위기를 외면하고 있다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대학들은 정원 감축이 학령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인 만큼 비수도권과 수도권 대학 모두 동등한 수준으로 정원을 줄여나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대전의 한 대학 관계자는 “인구 감소 위기는 전국적 사안인데 그 영향이 비수도권에만 미치고 있는 꼴”이라며 “이러한 문제가 방치될 경우 지역대학의 고사 위기는 가속화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