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대기업 선호하는데 대전 300인 이상 종사자 사업체 161곳 뿐
中企 인건비 지원·청년층 단기 교육훈련 직접 고용으로 연결 한계 有
납품단가 연동제 법제화 등 통해 경쟁력 높여 임금·복지 격차 줄여야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에 중점을 둔 청년 일자리 정책추진이 시급하다는 의견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청년층이 선호하는 대기업과 취업기피 현상의 중심에 선 중소기업 간 근무여건 격차 등을 최소화하는 사회적 합의와 대책마련이 청년 취업난 문제를 최소화하는 열쇠로 집중부각되고 있다.
27일 통계청 등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대전 지역의 사업체는 16만 4406곳, 종사자 수는 69만 1264명이다.
이 중 10인 미만 사업체 수는 15만 5544곳(94.6%), 종사자 수는 29만 629명(42.0%)으로 집계됐다.
반면 300인 이상 종사자가 근무하는 사업체는 161곳(0.09%)에 불과하다.
대전지역에서 취업할 경우 100명 중 94명 이상은 10인 미만의 사업체에 종사할 수 밖에 없는 셈이다.
심지어 대전의 사업체 수는 인구 1000명당 78.9개로 특광역시 중 최하 수준, 구인배수(신규 구인인원/신규 구직인원)는 0.29(통계청, 2020년 기준)로 2012년 이후 전국 최저 수준이 계속되고 있다.
청년층이 원하는 일자리를 위해 대기업을 유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고, 공공기관의 지역 인재 채용은 지역별 취업 기회가 제한될 수 있다는 문제점과 일정 규모 이상의 지역 인재 채용이 어렵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대·중소기업간 격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청년층 일자리 문제에 대해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하는 이유다.
이충묵 중소기업중앙회 천안공제센터 부장은 "2018년 기준 대기업 근로자 평균 임금은 501만원인데 비해 중소기업은 231만원에 불과한 실정에서 코로나19 이후 그 격차는 더 커지고 있다"며 "납품단가 연동제 법제화, 중소기업 가업승계 지원 등 중소기업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대책으로 대·중소기업간 임금·복지 격차를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중소기업에 대한 고용유지 지원금 등 인건비 지원과 청년층의 단기 교육훈련 등은 막대한 혈세가 투입돼야 하고, 직접 고용으로 연결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이어 "중소기업의 생산성을 높여 대·중소기업의 임금 격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이 마련돼야 사회 전반에 만연해 있는 중소기업 기피현상을 줄일 수 있고,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도 최소화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최근 일어난 SPC 20대 근로자 사망사건과 같은 산업 재해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 안전한 근무여건을 조성해야 제조업체·중소기업 기피현상을 줄일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정세은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고 있지만 실제 처벌 사례는 손에 꼽을 정도"라며 "안전이 확보되지 않는 곳에서 ‘저임금 고노동’을 기피하는 것은 당연하다. 근로자가 안전한 여건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기업 문화를 조성하는 게 시급하다"고 말했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