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 대학 강의실과 복도가 수업이 없어 불이 꺼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 대학 강의실과 복도가 수업이 없어 불이 꺼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역 대학들의 존폐위기는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벚꽃이 피는 순서대로 지역 대학들은 문닫는다는 이야기가 서서히 현실이 되어 가고 있어 씁쓸하다. 그나마 충청권 대학들은 대한민국의 중심이라는 지리적인 이점으로 심각한 위기 상황까지는 아니지만 앞으로의 대학 존폐위기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낙관적인 목소리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 그만큼 지역대학들은 저출산에 따른 학생수 감소와 재정위기 등으로 해마다 ‘생존’이라는 두글자를 벗어던지지 못한다. 저마다 응시율과 등록률에 눈이 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인 셈이다.

이번에 교육부가 5년간 1000억원씩을 지원하는 글로컬 대학 30곳 중에 10개를 발표한 가운데 충청권에서는 충북소재 충북대와 한국교통대만 이름을 올렸다. 글로컬 대학 사업은 3조원이라는 역대 최대규모 지방대학 지원사업이지만 여기서 대전·세종·충남 소재 대학들은 제외되면서 그 위기감은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글로컬대학 선정은 지역발전을 이끌수 있는 혁신성을 보고 뽑았다고 교육부는 발표했다.

지역 안배를 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지역안배를 하지 않았다고 교육부를 탓할 수 없다. 교육부의 글로컬 대학 선정 이유 자체가 지방에도 자생력을 갖춘 대학들을 키우겠다는 전략이어서 그렇다. 지역대학들이 스스로 변해야 하는 이유다. 최근들어 지역 대학들의 움직임이 바빠지고 있다. 지역 대학들이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류·협력 관계 형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한다. 대학 내외부 ‘벽 허물기‘를 강조하는 정부의 지방대학 육성 정책에 발맞춘 변화로 읽힌다. 글로컬대학 선정에 있어 핵심요소로 작용한다고 발표했으니 더욱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류협력에 매진할 수 밖에 없다.

최근 2개월 사이 대전권 대학에서는 최소 20건 이상의 국내외 기관, 지역사회 등과의 교류·협력 활동이 이어졌다고 하니 생존을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 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분명한 것은 글로컬 대학 선정만을 위한 정책방향이 되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생존은 곧 대학 각자의 ‘존재감 증명’이다. 지역 대학 스스로 지역사회는 물론 대내외적으로 교류·협력을 통해 각 대학들의 존재 이유를 스스로 증명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지역 대학이 산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