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규제 개혁 취지에는 공감
입시·교육 시스템 전반 변화 필요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홍보하는 대학 [사진출처=연합뉴스]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홍보하는 대학 [사진출처=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고등교육 혁신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정부는 무학과 제도를 강조하고 있으며 미래 고등교육 체제로의 전환점이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그러나 현행 입시 체제에서는 곧바로 현실화하기 어려울 것이란 예측이 나오며 지역대학들은 저마다 학과 간 벽을 허물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5일 대학가에 따르면 글로컬대학30 1차사업 예비지정에 선정된 대학들 상당수는 무학과와 무전공 등을 내세우면서 사업 궤도에 올랐다.

이는 교육부가 대학 안팎의 벽 허물기를 핵심 과제로 내세웠기 때문이다. 다만 대학가에서는 현 교육시스템에서 단기간 내 현실화하기 힘들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단일대학 내 학과별 선호도와 입결에서도 큰 격차를 보이는 데다가 문이과 통합형 과정 등도 안착됐다고 보기 힘들어 입시와 교육 제도 전반의 변화가 뒤따라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제도의 취지에 대해선 공감대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대학가 전반에 융복합 인재 양성이 핵심 키워드로 자리잡았기 때문이다.

2019년 최소 단위 학점을 이수해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전국 최초로 도입한 한남대는 올해 기준 126개의 관련 과정을 운영 중이다.

또 올해부터 입학생이 2개 이상의 전공을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는 융합교육 필수의무제를 도입했고 여러 학과 학생이 모여 기업·공공기관으로부터 프로젝트를 의뢰받아 시제품 등을 개발하는 디자인팩토리를 운영하고 있다.

목원대의 경우 AI융합 마이크로디그리를 도입해 전공과 관계 없이 취득할 수 있고 학생들이 둘 이상의 직무 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학사 구조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외 대학들도 마이크로디그리부터 연계전공, 다전공, 트랙제도 등을 통해 학과 간 경계를 넘을 수 있는 제도를 추진 중이거나 확대하고 있는 추세다.

최근에는 대학과 학생들이 연구를 통해 지역문제 해결에 나서는 등 대학과 외부의 벽을 허무는 시도들도 활발히 이어지고 있다.

대전 한 사립대 관계자는 "학문과 산업이 다양화되고 융합적인 특성이 강조되고 있는 만큼 시대적 흐름에 부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