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대’ 이끌 대학 연구 역량, 이대로 괜찮나]
일반대 공동활용 연구 장비 9100여개
서울권 28곳에 20% 이상 2053개 집중
충청권 수익 서울권 절반 수준도 안돼
임금 격차 등 인력 쏠림 현상 부추겨
수도권 인프라 집중 가속화 전망 나와

전국 일반대 공동활용 연구장비 운영현황. 그래픽_정연희 디자이너. 
전국 일반대 공동활용 연구장비 운영현황. 그래픽_정연희 디자이너.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대학의 연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삼박자’로는 우수 인력과 장비 등 인프라, 연구를 위한 재원 투자가 꼽힌다.

그러나 이러한 자원이 모두 수도권에 쏠리면서 지역 대학가에서는 연구 기능 축소 우려가 가중되고 있다.

21일 정부 공시에 따르면 1980년 이후 전국 각지에 설치된 일반대 공동 활용 연구 장비는 9100여개(과기원 등 특수목적법인 제외), 구입 예산 규모는 1조 7000억원에 이른다.

그러나 이 가운데 20% 이상(3700억원 규모)은 서울권 28개교(2053개)에 집중됐으며 노후화 측면에서도 비수도권과 수도권 간극은 크다.

충청권 일반대 30개교에는 1278개 장비가 운영 중이며 구입 예산 규모는 2008억원 수준이다.

그러나 이 가운데 31.9%가 2010년 이전에 구입한 장비로 구입 시점이 10년을 훌쩍 넘긴다.

전국적으로는 27.3%가 2010년 이전에 구입한 장비인데, 수도권은 이 비율이 22.7%에 그친다.

이는 사실상 지역 연구 기반의 양극화를 드러내는 한 지표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공동활용 장비의 운영을 통한 수익이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권 대학의 설비 자산 사용료 수익은 지난해 기준 292억원으로, 산단 또는 교비회계에 편성돼 재투자할 수 있다.

동기간 충청권에서는 이에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치는 127억원 가량의 수익이 발생했다.

이 같은 연구 기반과 함께 임금 격차도 우수 인력의 쏠림 현상을 부추기고 있다.

서울 주요대학 12개교의 교수 평균 연봉은 2017년에 이미 1억 2000만원을 육박했지만 대전권 주요대학은 1억원을 밑돌았다.

서울권 대학 2개교는 부교수의 연봉도 평균 1억원을 상회했지만, 대전권 3개교는 7000만~8000만원에 그치기도 했다.

대학가에서는 연구 인프라와 임금 격차를 비롯해 핵심 산업군도 수도권에 집중된 탓에 우수 인력의 지역 유입이 쉽지 않다는 점을 지적한다.

특히 현 정부 들어 추진된 각종 규제 완화가 사실상 수도권 대학에 대한 수혜로 이어지자 우려는 가중되고 있다.

첨단산업 분야의 입학 정원 순증에 이어 서울 소재 대학의 건축물 규제(서울시)가 풀리자 ‘인서울’ 대학들은 연구실험실 등을 대거 신축하거나 캠퍼스 개발에 힘을 쏟기 시작했다.

연구 인력과 재원, 인프라의 수도권 집중이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배경이다.

지난 7월 정부 공시에서는 정원 3000명 이상 사립대(전국 116개교)에서 진행한 정부 연구과제 4만 8036건(64억 9800만원 규모) 중 서울권 대학이 40%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동기간 충청권(24개교)에서는 9억원 규모의 연구가 진행됐다.

대전 A대학 연구처 관계자는 "정부의 재원 뿐만 아니라 기업의 재원도 수도권에 집중되고 있다"며 "산업 역시 수도권에 집중됐기 때문인데, 현 정책에서는 쏠림 현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