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정부정책서 소외된 전문대 결국 존폐기로에 섰다
5 정부 대안에는 한계점만 가득
정부, 전문대 살리기 대안으로 평생교육·재교육 강화 내세워
일반대 대부분 이미 평생교육원 운영 중… 중첩우려 목소리
일반대 중심 정책 기조로 전문대 지원규모·대상 협소 지적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정부는 소멸 위기에 놓인 전문대를 살리기 위한 대안으로 평생교육과 재교육 기능의 강화를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실제 고등직업교육 현장에서는 일반대 위주의 정책 흐름이 지속돼 한계에 봉착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의 ‘성인학습자 현황 및 대응방안’에 따르면 재직자와 성인학습자들의 평생교육 수요는 꾸준히 늘고 있다.

2021년 8월 만 25~55세 재직자 15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수요 분석에서는 재직자 78.9%가 고등교육기관의 평생직업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파악됐다. 또 만 25세 이상 성인학습자 2151명 대상의 조사에선 평생교육의 ‘학위과정과 비학위과정 모두에 참여 의사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59.9%를 기록했다. 평생교육에 대한 국민들의 수요는 확실한 상황이지만 실제 전문대로 모든 수요가 이어지지는 않고 있다는 게 전문대 관계자들의 입장이다.

일반대들도 평생교육과 관련된 사업에 대거 뛰어들면서 각 대학마다 평생교육원 등 기관을 운영 중이기 때문이다.

대전의 한 전문대 보직자는 "일반대에서도 전문대와 같은 자격증 취득과정 등을 운영하는데 동일한 프로그램이 있으면 4년제로 학생이 쏠리는 현상과 같이 평생교육 분야에서도 빈익빈 부익부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실상 만 19세 이하 대입생의 입학 자원도 일반대에 쏠린 상황에서 평생교육 분야의 자원까지 일반대와 공유하게 된 실정이다.

정부는 전문대가 평생교육을 중심으로 전환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지만 이 같은 여건에 발목을 잡힐 수밖에 없다.

2021학년도 전국 전문대 신입생 중 만 25세 이상 성인학습자는 2019년 대비 7327명이 늘었고 재학생 중 성인학습자는 1만 557명이 늘었다. 그러나 만 19세 이하 신입생은 동기간 4만 3432명, 만 19세 이하로 입학한 뒤 재학 중인 인원은 5만 5654명이 줄었다.

전체 신입생·재학생 인원을 놓고 보면 감소세가 증가폭을 5배 이상 압도한다. 실질적으로 평생교육과 재교육에 맞춰 기능을 전환하기 위해선 막대한 부담과 리스크를 떠안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전문대들은 전폭적인 지원이 뒷받침돼야만 기능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일반대 중심의 정책 기조에 난관을 예상하고 있다.

정부의 평생교육 지원사업으로는 평생교육체제 지원과 후진학 선도형 사업,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 등이 추진 중이지만 일반대 사업에 비해 지원 규모와 대상이 협소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특히 평생교육을 중점 추진하기 위해선 자치단체와의 협력도 불가피한 상황이지만 대체로 사업 대상이 기초단체로 국한된 데다가 광역 차원의 대규모 사업과 정책 논의는 일반대만을 겨냥하고 있다는 점도 큰 문제로 지적된다.

한 전문대 입학 관계자는 "일반대도 평생교육 수요를 나눠 갖는데 기능 전환을 전폭적으로 추진하다가 경쟁력에 밀릴 경우 존폐 위기에 맞닥뜨릴 수 밖에 없다"며 "수요는 많다. 그러나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선 직업교육에도 대대적인 지원이 뒷받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끝> 조선교 기자

대학교 강의실. 사진=연합뉴스.
대학교 강의실. 사진=연합뉴스.

missio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