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폭우로 업무 올스톱·초동조치 미흡 등 논란

정금희 충남보건환경연구원장이 17일 충남도의회 복건복지환경위원회의 행정사무감사에서 답변하고 있다. 사진=권혁조 기자.
정금희 충남보건환경연구원장이 17일 충남도의회 복건복지환경위원회의 행정사무감사에서 답변하고 있다. 사진=권혁조 기자.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지난 7월 폭우 피해로 업무가 ‘올스톱’ 됐던 충남보건환경연구원(이하 연구원)을 반면교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기상이변 등 비상상황에 대비한 뉴얼을 갖추고, 선제적인 대응으로 이번 연구원 사태처럼 ‘소 잃고 외양간을 고치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충남도의회 보건복지환경위원회는 17일, 연구원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이번 폭우 피해는 ‘인재’였다고 질타했다.

연구원은 지난 7월 16~17일 새벽 사이 홍성 인근에 내린 폭우로 지하 주차장과 공용차량, 지하 전기실 등이 물에 잠겼다.

당시 폭우로 인해 지하주차장이 0.8m가량 침수되면서 주차돼 있던 연구원장 전용차량 등 관용차 5대와 직원 차량 2대 등 총 7대가 침수됐고, 지하주차장과 연결돼 있던 전기실도 약 2m가량 물이 차며, 연구원 전체가 정전됐다.

특히 연구원의 도의 직속기관임에도 이러한 사실이 사고가 발생한 지 5일이나 지난 후까지 김태흠 충남지사에게 제대로 보고되지 않아 초동조치도 미흡했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우선 신순옥 의원(국민의힘·비례)은 연구원의 환경개선금 사용 현황, 폭우 피해가 발생한 지 4개월 정도 지난 현재 복구상황과 직원들의 냉난방 등 처우 문제에 대해 따져 물었다.

신 의원은 “연구원의 환경개선금이 연 1억 6000만원 정도인데 그동안 시설·장비 교체 등 내부 편의시설 개선에만 사용하고, 재해 예방·안전관리에는 쓰지 않았다”며 “예기치 못할 정도로 폭우가 쏟아졌다고 이해해도 최소한의 대비도 하지 않아 피해가 더욱 커진 것”이라고 질책했다.

이에 정금희 연구원장은 “선제적으로 조치 못 한 점은 인정한다. 하지만 사고가 발생한 후 비상전력을 끌어와 실험실·연구실은 일주일 내에 응급복구를 완료했다”며 “직원사무실 등 공사가 늦어지는 부분은 우선적으로 라디에이터를 공급해 근무하는 데 차질 없이 조치했고, 이달 말까지 완전 복구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대답했다.

이어 김민수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은 이번 폭우 피해로 인한 실제 피해액을 추궁하며 근본적인 폭우 피해 예방책을 요구했다.

다시는 이번과 같은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일이 일어나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이에 정 원장은 “복구비로 총 15억원 정도가 들 것으로 예상되는데 보험사에서 97% 자연재해로 인정받았고, 응급복구 과정에서 전기 인입 부분까지 실제 손해액은 2억 원 정도”라며 “주 출입구 조정, 배수로 확대, 차수막 설치 등 다시는 이번과 같은 피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