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보다 5.7% 늘어
지방채 규모도 커져
내달 15일 심의 확정

한치흠 대전시 기획조정실장은 11일 시청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시 내년도 예산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이심건 기자
한치흠 대전시 기획조정실장은 11일 시청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시 내년도 예산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이심건 기자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대전시가 내년 예산안을 7조582억원 규모로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했다. 올해보다 5.7%(3811억원) 늘어난 규모다.

재정 여건이 녹록지 않은 상황에서 긴축 기조를 유지하되, 도시철도 2호선 등 대형 인프라 사업과 돌봄·청년·노인 지원을 중심으로 한 민생 투자에 방점을 찍었다.

11일 시에 따르면 예산안은 일반회계 5조7394억원, 특별회계 1조3188억원으로 구성됐다. 시는 경기 회복 조짐과 국고보조금 확대 등을 감안해 재원을 확보하고, 지역 경제 활력 제고와 미래 성장 기반 마련에 예산을 배분했다고 설명했다.

가장 큰 비중은 도시철도 2호선 사업 등 사회간접자본(SOC)이다. 시는 트램 방식으로 추진 중인 2호선 건설에 2400억원을 투입한다. 안영생활체육단지 2단계(160억원), 서남부스포츠타운 조성(53억원) 등 생활 기반 시설도 계속된다. 도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도로망 확충 사업으로 대덕특구 동측진입로 개설(161억원), 정림중∼사정교 도로 개설(100억원) 예산도 반영됐다. 여름철 집중 호우 등 자연재난 대비를 위한 위험 개선지구 정비(158억원)와 하천정비(32억원) 사업도 포함됐다.

민생·복지 투자도 확대된다. 소상공인을 위한 경영회복 지원(136억원), 초저금리 대출(410억원), 지역화폐 발행(60억원) 등이 편성됐다. 돌봄·보육 분야에는 대전형 양육수당 527억원, 영유아 보육료 1319억원, 아이돌봄 지원 236억원이 들어간다. 청년층 지원도 강화해 결혼장려금 160억원, 청년월세 지원 144억원, 청년통장 사업 40억원 등이 반영됐다. 노인 일자리(897억원), 무임교통 지원(216억원), 기초연금(5631억원) 등 고령층 지원도 확대된다.

교육·과학기술 투자는 지역 미래 전략과 연계된다. 시는 지역 대학과 연계한 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에 724억원을 배정하고, 글로컬대학 육성에 150억원을 편성했다. 또한 바이오창업원 조성(86억원), ‘마중물 플라자’ 구축(79억원), 방산·로봇·드론 분야 육성(40억원), KAIST 개방형 양자팹 조성(20억원) 등 6대 전략산업 투자를 이어간다.

재정 확장에 따라 지방채 규모도 커졌다. 시 지방채무는 올해 말 1조6096억원으로 전망된다. 2023년 대비 약 4000억원 증가한 수준이다. 연도별 증가액은 2022년 1567억원, 2023년 2040억원, 지난해 1891억원이며, 이자 비용은 연간 350억원에 달한다. 시는 도시철도 2호선과 한화생명 볼파크 조성 등 대규모 사업에 지방비 투입이 필요했던 점을 이유로 들었다.

한치흠 시 기획조정실장은 “대형 기반 사업 추진 과정에서 채무가 불가피하게 늘었다”며 “내년부터 상환 속도를 높이고 지방채 비율을 20% 이하로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민생 안정과 미래 대비에 중점을 두고 시민 체감도가 높은 사업 중심으로 재정을 운용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예산안은 대전시의회 심의를 거쳐 내달 15일 최종 확정된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