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서 주변 연계 확장 필요성 나와
복합환승센터 설치 땐 상권 활력
역세권 개발로 회복동력 마련 목소리
[충청투데이 권오선 기자] 올해 국정감사에서 ‘서대전역 복합환승센터 개발’ 필요성이 거론되면서 침체된 원도심에 활력을 불어넣을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교통 기능인 복합환승센터 조성은 물론 주변 공간을 활용한 확장까지 논의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전반적인 원도심 활성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
5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감에서 서대전역 복합환승센터 사업을 ‘제4차 환승센터 및 복합환승센터 구축 기본계획’에 반영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해당 사업은 제21대 대통령선거 당시 이재명 대통령의 대전 중구 공약에서 출발했으며, 지난 8월 정부의 지역 국정과제로 채택되면서 추진 동력은 마련된 상태다.
특히 최근 국감에서는 단순히 환승센터 조성에 그치지 않고, 서대전광장 지하보도 설치 등 주변 공간을 연계한 확장 개발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대해 김윤덕 국토부 장관은 "대전시가 요청하면 검토하겠다"며 지자체 의지에 따라 추진 범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향후 서대전역은 대전 도시철도 2호선(트램)과 충청권 광역철도가 개통될 경우 기존 KTX 호남선과 도시철도 1호선을 포함해 총 4개 노선이 교차하는 교통 요충지가 된다.
이로 인해 통행량 증가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환승주차장, 지하 보행로 등 추가 인프라 확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게다가 이번 개발은 원도심 활성화와도 맞물린다. 서대전역 승차 인원은 2020년 125만 2993명에서 지난해 201만 1790명으로 늘었고 같은 기간 하차 인원도 122만 3587명에서 193만 974명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역세권 상권으로의 소비 유입은 미미해 유동인구 증가가 지역 경제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반면 타 지역에서는 복합환승센터가 지역 상권 확장으로 이어진 사례가 있다.
2016년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개장 이후 환승 편의성이 크게 개선됐고, 백화점·아쿠아리움 등 대형 상업·문화시설 유치로 지역 경제 활성화 효과를 거뒀다. 현재 서대전역 일대는 단층 상가와 빈 점포가 혼재하고, 인근 공원·대형 상가와의 보행 동선도 단절돼 있어 구조적 한계가 지적된다.
최근 백화점 폐점, 대형마트 기업회생 신청 등 상권 불안이 이어지는 가운데 역세권 개발을 통한 회복 동력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현시점에서 개발 가능 여부를 단정하긴 어렵다"며 "다만 내년 진행 예정인 연구용역에서 해당 부분을 병행해 넓게 바라보고 진행할 수 있도록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권오선 기자 kos@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