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 공유부터 제도 개선, 사회적 가치 협력까지… 정례화 합의로 상생협력 발판 마련
[충청투데이 김일순 기자] 세종시 북부권 주요 공공기관과 지역 경제단체가 머리를 맞대고 여성기업과 중소기업의 성장을 뒷받침할 상생 전략을 논의했다.
세종시설관리공단, 세종도시교통공사,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 세종테크노파크, 세종일자리경제진흥원 등 5개 공공기관은 30일 한국여성경제인협회 세종지회, 대한전문건설협회 세종시·충남도회와 함께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에서는 성과를 공유하고 현실적인 고민을 나누고, 제도 개선과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협력을 다짐하며 향후 논의를 정례화하기로 합의했다.
공공기관들은 지역 상생을 위한 성과를 먼저 공유했다.
세종시설관리공단은 최근 3년간 지역업체 구매율 72%를 달성했고, 세종도시교통공사는 버스 교체사업에 지역 정비업체를 참여시켜 연간 20억 원의 경제효과와 10여 개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난해 스타트업 15곳과 12억 원 규모 계약을 체결했으며, 세종일자리경제진흥원은 올해 상반기만 40억 원 규모 계약을 성사시켰다.
세종테크노파크는 여성기업 제품 구매 목표를 정부 기준(5%)보다 높은 6% 이상으로 설정해 운영 중이다.
하지만 현실적인 어려움도 제기됐다.
여성기업 제품이 특정 품목에 집중돼 대규모 SOC사업에 반영이 어렵고, 복잡한 공공조달 절차가 기업의 참여를 가로막는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납품 후 장기 거래로 이어지지 못하는 점 역시 공통된 문제로 꼽혔다.
이윤희 한국여성경제인협회 세종지회장은 “세종 여성기업 다수는 업력 7년 이상으로 지역 고용을 지탱하고 있지만, 제도적 제약으로 기술개발 지원에서 소외되는 경우가 있다”며 “현실에 맞는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지희 부회장도 “여성기업은 단순한 경제 주체가 아니라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파트너”라며 정책적 지원을 요청했다.
성용호 대한전문건설협회 세종위원장위원장은 “대형 공공사업일수록 외지 업체 수주가 많다”며 “지역업체 입찰 기회를 제도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윤봉진 세종도시교통공사 도시성장본부장은 “과거 강원도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발생해 조례를 통해 등록 기간을 3~6개월 이상으로 제한한 사례가 있었다”며 “세종시도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지역업체를 보호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조소연 세종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은 “평가 과정에서 일정 기간 이상 등록한 업체를 우대하는 가점제를 도입할 수 있다”며 “기관 간 협의를 통해 통일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공기관들은 사회적 가치 실현과 혁신 협력 의지도 밝혔다.
오득창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 대표이사는 “스타트업과 연계해 취약계층 주거환경 개선, AI 기반 자동출입문 설치 등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라며 “여성기업과 건설업체가 함께한다면 전국 확산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 “홈페이지 제작 지원 서비스도 기존 기업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세종테크노파크 권성일 팀장은 “여성기업과 장애인기업 등 사회적 약자 기업 제품을 적극 구매하고 성과평가에 반영하고 있다”며 “지역기업과 상생할 수 있는 모범 사례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날 참석자들은 이번 간담회를 일회성 행사에 그치지 않고 정례화하기로 뜻을 모았다.
앞으로 반기 1회 이상 실무자 회의를 열어 공공구매 확대, 판로 개척, 사회적 가치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조소연 이사장은 “기관들이 같은 기준과 시스템을 마련하면 지역경제 활성화의 해법이 나온다”며 “이번 만남이 단순한 물품구매 확대를 넘어 AI 컨설팅·ESG 합동활동 등 새로운 협력 모델로 발전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