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4대강 사업을 통해 조성된 세종보는 치수와 환경문제라는 딜레마를 놓고 십수년째 표류하고 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철거’와 ‘유지’를 놓고 오락가락 행보를 보인다. 찬반 양측의 간극은 좁히지 못한채 ‘답 없는’ 갈등만 이어오고 있는 실정이다. 윤석열 정부가 조기에 문을 닫고 이재명 정부가 새롭게 들어서면서 다시 한 번 찬반 양측의 갈등이 재현되고 있지만 여전히 이렇다할 해법은 보이지 않는 상황이 안타깝기까지하다. 냉철한 접근을 통해 이제는 문제를 매듭지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세종보는 약 1200억원의 공사비를 투입해 2009년 금강에 설치됐다. 콘크리트 고정보와 수위를 조절하는 가동보로 이뤄진 다기능보로 분류된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혼선을 빚어온 세종보는 2017년 수문을 개방해 하천 생태계 복원을 시도했고 2018년엔 문재인 정부의 생태 복원 정책에 따라 완전 개방과 해체 결정이 내려지기도 했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면서 2023년 국가물관리위원회가 보 해체 계획을 취소하고 재가동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격화됐다. 현재는 환경단체의 반발 등으로 재가동이 지연되고 있는 상태다.
그러나 최근 새 정부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세종보 농성장을 찾아 보 재가동 중단을 약속한 것을 놓고 다시 한 번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급기야 최민호 세종시장이 기자회견을 열어 일방적인 세종보 재가동 중단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최 시장은 이해당사자인 세종시민과 세종시와 아무런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재가동 중단이 결정되는 것에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반대로 세종보 재가동을 반대하며 500일 넘게 농성을 이어가고 있는 환경단체는 세종보 해체를 주장하고 있다.
지역 일각에서는 치수와 환경이라는 딜레마에 빠진 세종보 문제를 이제는 사회적 합의를 통해 정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세종보가 갖고 있는 장단점을 보다 객관적이고 냉철하게 진단하고 찬반 양측의 간극을 좁혀야 한다는 목소리다. 찬반 양측의 입장은 이해하지만 1년간 운영을 통해 성과를 실증해 보자는 최민호 시장의 제안도 충분히 고려해볼 여지가 있다. 투명하고 과학적인 검증과 사회적 합의, 지역주민 의견 수렴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