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특위 출범 속 영남특위 신설 예고도
정청래 대표, 취임 이후 정책 영호남 집중
충청 소외감속 현안 후순위 밀릴 우려도

21일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호남발전특별위원회 출범식에서 정청래 대표를 비롯한 위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25.8.21 사진=연합뉴스.
21일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호남발전특별위원회 출범식에서 정청래 대표를 비롯한 위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25.8.21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조사무엘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호남발전특위를 출범한 데 이어 영남발전특위 가동까지 예고한 것과 반대로 충청권에서는 소외감과 반발 기류가 짙어지는 모양새다.

여당의 '영·호남 챙기기’ 행보 속에 충청 현안이 후 순위로 밀릴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21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이날 국회에서 호남발전특별위원회(호남특위) 출범식을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위원장은 3선의 서삼석 의원(전남 영암무안신안)이 맡았으며, 이병훈 전 의원과 김성 장흥군수, 이원택 의원 등이 수석부위원장단으로 임명됐다.

정청래 민주당 대표는 출범식에서 “호남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뿌리이자 민주당의 버팀목”이라며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따라야 한다. 민주당과 이재명 정부가 이제는 호남에 보답할 때”라고 강조했다.

호남특위는 정 대표의 당대표 선거에서 제시한 핵심 공약 중 하나다.

특위는 올해 안으로 호남발전 전략을 논의해 성과물을 당에 보고하고, 민주당은 이를 토대로 정부와 협상에 나설 계획이다.

민주당은 여기에 더해 영남발전특위 신설도 예고했다.

정 대표는 지난 20일 경주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영남의 인재를 발굴·육성하고 지방선거에 대비하는 영남특위를 조속히 발족해야 한다”고 주문한 바 있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호남과 영남 두 지역을 동시에 챙기겠다는 의도를 드러낸 셈이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호남특위가 빠른 속도로 출범한 만큼, 영남특위 신설도 시간문제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하지만 충청권에서는 씁쓸한 기류가 읽힌다.

앞선 선거에서는 ‘충청의 아들’을 자임해 온 정 대표지만, 정작 당대표 취임 후 내놓은 정책 메시지는 영호남에만 집중되고 있다는 비판이다.

특히 충청 현안 다수가 호남과 직접 경쟁 구도에 놓여 있다는 점에서 위기감은 더 짙다.

여당 지도부의 이 같은 기조가 이어진다면 영호남과 밀접하게 닿아있는 충청권 현안은 불리한 상황에 놓일 수밖에 없다는 우려다.

신설 기후에너지부 입지 문제를 두고 세종과 전남 나주가 경쟁 중이고, 제2 중앙경찰학교 유치 문제 역시 충남과 전북이 맞붙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가 영·호남에 힘을 실을 경우 충청이 절대적으로 불리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정치적 파장도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충청은 선거 때마다 ‘캐스팅보트’ 역할을 해온 전략적 지역이지만, 선거가 끝나면 호남·영남에 밀려 ‘충청 패싱’ 논란이 반복돼 왔다.

이번 역시 비슷한 구도가 재연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지역 정치권 한 관계자는 “호남과 영남에는 특위를 만들면서 타 지역들은 철저히 외면한다면 민주당이 말하는 균형발전은 허구에 불과하다”며 “충청권을 단순히 캐스팅보트로만 소비하지 말고 당 차원의 특위 구성으로 지역 현안을 정면에서 다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조사무엘 기자 samuel@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