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역사계 “연구관에 대한 관심 확대 必”
유공자 발굴현장서 뛰는 민간단체 지원 강조
거증자료 확보·분석 등 多기관 협력 주장도

광복절을 나흘 앞둔 지난 11일 정부서울청사 외벽에 대형 태극기가 걸려 있다. 2025.8.11 사진=연합뉴스.
광복절을 나흘 앞둔 지난 11일 정부서울청사 외벽에 대형 태극기가 걸려 있다. 2025.8.11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올해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대규모의 독립운동가 포상이 이뤄진 가운데, 보훈계에선 유공자의 공적을 인정하는 작업이 상징적 시기에 좌우돼선 안 된다고 강조한다.

특히 아직 빛을 보지 못한 독립유공자의 넋을 기리기 위해선 발굴 현장 일선에서 뛰는 민간단체 등에 대한 지원이 강화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13일 보훈단체 등에 따르면 정부의 독립유공자 포상은 기념비적인 시점마다 그 규모가 확대되는 경향을 보여 왔다.

대표적으로 3·1운동 100주년이었던 2019년에는 3·1절 기념으로만 독립유공자 333명을 새롭게 포상했다.

이는 2012년부터 올해까지 3·1절 기념 포상 중 가장 큰 규모로, 당시 정부는 독립유공자 심사 기준을 완화하기도 했다.

2018년 국가보훈청(국가보훈부 전신)은 포상 심사 기준에서 수형·옥고 3개월 이상을 폐지해 실형을 살지 않았더라도 독립운동 활동이 분명하면 공적을 인정받는 길을 열었다.

이 영향으로 3·1절과 광복절, 순국선열의 날까지 연 3회 실시되는 국가유공자 포상은 2019년 648명, 2020년 585명, 2021년 657명, 2022년 598명 등 연 600명 안팎에 달했다.

독립유공자 포상이 또 한번 대거 이뤄진 시기는 광복 80주년을 맞은 올해로, 보훈부는 13일 유공자 311명을 동시에 추서하기로 했다.

광복절 기념으로 351명이 포상된 2020년 이후 가장 많은 규모로, 2023~2024년엔 연 3회의 포상을 다 합쳐도 300명 미만에 불과했다.

심옥주 한국여성독립연구원장은 “특정 시기가 됐을 때 보훈부에서 포상 심사위원을 더 배정하는 경향이 있다”며 “정부에서 포상에 적극성을 보이는 것은 고무적”이라고 설명했다.

보훈단체와 역사학계에선 유공자 포상은 객관적 거증자료에 근거해 이뤄지는 만큼 이를 발굴하는 일선 연구관 등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고 말한다.

일제의 침탈이 시작한 1890년대부터 어느 덧 120년 넘게 흘렀고,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의 일문·영문 문서를 번역해야 하는 등 자료 확보와 분석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심옥주 원장은 “보훈부의 유공자 심사가 있기까지 발굴 작업의 대부분은 민간에서 이뤄진다”며 “하지만 보훈부는 포상의 결과만 발표할 뿐 민간의 노력은 알리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박경목 충남대 국사학과 교수는 “2020년 전후로 독립유공자 포상이 많았던 것은 당시 전국에서 지자체 차원의 숨은 지역 독립운동가 찾기가 활발했던 영향도 있다”며 “이런 각계의 노력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태룡 국립인천대 독립운동사연구소장은 “시·도마다 독립운동가 발굴 및 연구를 수행하는 대학 및 대학원 연구소가 최소 1곳 이상씩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완태 광복회 충남지부장은 “독립유공자 포상 확대는 대한민국의 역사를 바로 세우고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일”이라며 “거증자료 확보, 분석은 정부, 지자체, 학계 등 여러 기관이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