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미에 의존하는 취약계층 상당수
백미만 지급… 당뇨 등 질환 관리 곤란
정부 “검토 단계… 도입까진 시간 필요”

쌀. 클립아트 코리아 제공.
쌀. 클립아트 코리아 제공.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최근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부가 사회 취약계층에 지원하는 복지용 나라미(정부관리양곡)의 공급 다양화 필요성에 대한 지적이 고개를 들고 있다.

당뇨, 고혈압 등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취약계층의 경우 백미만 지급되는 현재의 나라미로는 기저질환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취지에서다.

4일 충청권 4개 시·도 등에 따르면 복지용 나라미에 생계를 의존하는 지역 내 취약계층은 최소 수만 여명으로 추산된다.

복지용 나라미는 1달에 1포(10㎏)만 신청할 수 있는데, 최근인 지난 6월 기준 △충북 4만 6282포 △충남 4만 3097포 △대전 4만 2617포 △세종 3880포 등이 배출됐다.

생계·급여·주거·교육급여를 받는 기초생활수급자와 중위소득 50% 이하의 차상위계층은 정상가격보다 저렴하게 나라미를 구매할 수 있다.

생계·의료급여 수급자는 기준가격의 10%에 해당하는 1포당 2500원에, 주거·교육급여 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은 40%인 1만원에 나라미를 먹을 수 있다.

하지만 나라미가 백미, 즉 흰쌀로만 지급되다 보니 당뇨, 고혈압 등 질환 치료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쌀밥은 정제된 탄수화물 전분이 혈당을 빠르게 높여 당뇨에 안 좋은 대표 음식으로 손꼽힌다.

여기에 사회 취약계층 상당수는 기저질환을 앓고 있는 고령 또는 장애인이라는 점에서, 나라미가 자칫 이들의 건강을 악화 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당뇨 환자의 증가로 식습관이 건강식 위주로 변하고 있다는 점도 취약계층을 위한 나라미 공급 다양화 필요성을 높이는 이유 중 하나다. 아울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자료를 보면 충청권의 당뇨 환자는 2020년 38만 266명에서 지난해 45만 5633명으로 4년 새 19.8% 증가했다.

나라미를 백미뿐만 아니라 당뇨 등 질환 관리에 상대적으로 유리한 현미도 제공해야 한다는 주장은 꾸준히 제기돼 왔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현미와 채식 위주 식단으로 고혈압, 당뇨 등 질환이 호전되는 경우를 많이 봤다"며 "현미 나라미를 선택하는 도입은 스스로 건강관리를 할 기회를 주는 것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나라미 대상자는 정부의 의료비 지원 대상이기도 해 이들이 의료기관을 자주 찾으면 정부의 의료비 지출이 더욱 증가할 수밖에 없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정부양곡을 관리하는 농식품부도 현미 나라미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일정 부분 공감하고 있는 분위기다.

다만 ‘검토’ 단계에 머무르며 실질적인 도입까진 다소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전망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민원이 많이 들어오고 있지만 보건복지부, 지자체와도 협의해야 하고 내부적, 절차적으로도 해결해야 할 것이 많아 언제 된다고는 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