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응우 시장·공직자 30여명 고덕면 수해 복구 자원봉사
침수 가구 정리·토사 제거… “희망은 사람 손에서 시작”
[충청투데이 김흥준 기자] 7월의 끝자락, 해가 뜨기도 전인 새벽 5시 40분. 계룡시청 청사 앞에 공직자들이 하나둘 모였다. 짧은 인사 뒤에는 묵직한 침묵이 흘렀다. 그들이 향하는 곳은 충남 예산군 고덕면. 지난 17일 기록적인 폭우로 깊은 상처를 입은 마을이다. 이날은 복구를 위한 하루 봉사 일정이 예정돼 있었다.
◆망연자실한 고덕… 토사에 묻힌 일상
“냉장고, 장롱, 소파… 몽땅 버렸지요. 살아온 기억이 흙탕물에 쓸려갔어요.”
고덕면 구만리 마을회관 앞, 이선주(68) 씨는 집 안에서 꺼낸 젖은 가구들을 바라보며 말을 잇지 못했다. 그 앞에서 계룡시 공직자들은 얼굴에 흙먼지를 묻힌 채 토사를 퍼내고 있었다. 낫과 삽, 양동이로 이어진 복구 작업은 말 그대로 ‘사람의 손’에 의존해야 하는 고된 일이었다.
지난 폭우로 고덕면 일대는 마을 전체가 잠겼다. 농작물 피해는 물론이고 주택, 창고, 가재도구 모두가 진흙 속에 파묻혔다. 예산군에 따르면 피해면적은 농경지 4000 ha 이상, 비닐하우스 277동 침수, 주택 수십 채가 손상된 것으로 추정된다.
◆“작은 힘 모이면 큰 희망”… 연대의 실천
계룡시청 공직자 30여 명은 이날 자발적으로 참여했다. 오전 7시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폭염주의보 속에서도 쉬는 시간은 짧았다. 고무장화를 신고 집 뒤편 산비탈을 오르내리며 흙더미를 퍼 나르고, 부유물을 제거하며 무너진 삶터를 하나하나 되살렸다.
현장에는 이응우 계룡시장도 함께했다. 그는 직접 장갑을 끼고 삽을 들며 직원들과 나란히 복구 작업을 도왔다.
“피해 주민들의 고통 앞에서 가만히 있을 수 없었습니다. 작은 손길이라도 보탤 수 있다면, 그것이 바로 공직자의 책임이자 연대의 마음입니다.”
이 시장은 잠시 작업을 멈추고 숨을 돌리며 이렇게 말했다.
◆주민들의 ‘눈물의 인사’
작업이 끝날 무렵, 마을 주민들이 다가와 손을 꼭 잡았다. 말보다 눈빛이 먼저 고마움을 전했다. 염혜경(60) 씨는 “사흘째 집안을 치우지도 못해 막막했는데, 오늘이 오지 않았으면 우리 부부는 그대로 쓰러졌을 것”이라며 눈시울을 붉혔다.
주민들을 위해 예산군 자원봉사센터는 ‘사랑의 밥차’를 운영하며 따뜻한 식사를 제공했다. 봉사자와 주민이 함께 나눈 김치찌개 한 그릇은, 그날 하루 ‘이웃’이라는 이름으로 맺어진 작은 연대의 증표였다.
◆ ‘상생과 공감’ 행정의 시작
이번 활동은 단발성 행사가 아니다. 계룡시는 인근 자치단체와의 상호협력을 강화하고, 재난 발생 시 신속한 지원체계를 구축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이번 봉사에는 자율성과 진정성이 강조됐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다.
이 시장은 “앞으로도 계룡시는 현장 중심의 공감 행정을 통해 인근 시·군과 아픔을 함께 나누겠다”고 전했다.
◆"희망은 사람 사이에 있다"
이날의 수해복구 봉사활동은 단지 복구의 현장이 아니었다. 그것은 무너진 마음을 다시 일으키는 자리였고, 이웃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는 진심의 실천이었다.
삽 한 자루로 무엇을 바꿀 수 있을까. 그러나 그 삽이 모이고, 그 손길이 연결되면 무너진 삶의 터전도 다시 설 수 있다.
예산 고덕면의 복구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하지만 희망의 불씨는 분명히 살아났다. 계룡시에서 온 ‘이웃들’ 덕분에.
김흥준 기자 khj50096@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