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7월 최종 후보지에 포함되며 ‘진통’
주민설명회·공청회 찬반 대립 해결 못해
최근 충남도 여론조사 76.6% 찬성 응답
환경부, 다음달까지 기본구상 추진 계획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환경부는 지난해 7월 기후대응댐 후보지(안) 전국 14곳 중 한 곳으로 충남 지천을 발표했다.
청양군 장평면~부여군 은산면 등 지천 하류에 저수용량 5900만㎥ 규모의 댐을 건설해 홍수와 가뭄을 극복하고, 미래 물 수요에 대비한 수자원을 확보하겠다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하루 약 38만명에게 먹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11만㎥/일의 용수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천은 풍부한 유량(흐르는 물)과 넓은 유역면적(물이 모아질 수 있는 면적)을 갖추고 있어 1991년, 1999년, 2012년에도 댐 건설이 추진되었을 만큼 도내 유일한 댐 건설 가능 지역으로 꼽힌다.
하지만 과거 3차례는 상수원보호구역 규제 등으로 인한 주민 반대 문제로 댐 건설이 무산된 바 있지만, 이번 기후대응댐 후보지(안)에서는 지천 하류에 댐을 건설할 예정이어서 상수원보호구역 규제 등에서도 자유롭다는 게 환경부의 설명이다.
그럼에도 지천댐 건설을 두고 지역사회 안팎의 찬·반 논란이 계속되면서 환경부는 지난해 8~9월 청양·부여에서 주민 설명회를 진행한 후 11월에는 금강권역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안) 공청회를 실시했다.
충남도 등은 지난 3월 지천댐 지역 협의체를 구성, 수몰 인접지역 사업 계획, 환경 영향 등을 구체적으로 조사한 후 주민 의견을 추가 수렴하기로 결정했다.
충남도는 이후 지난 5월 30일부터 6월 5일까지 댐 인접·영향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찬반 의견 조사 등을 실시한 결과, 76.6%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정부와 충남도는 주민 등 지역에 대한 지원정책 차원에서 댐 건설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국가지원을 330억원에서 770억원으로 증액됐고, 충남도는 이와 별도로 1000억원을 추가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환경부는 내달까지 지천 기후대응 다목적댐 조성 관련 기본구상을 추진할 계획이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