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오송 지하차도 참사 시민분향소 찾은 김영환 충북지사[충북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오송 지하차도 참사 시민분향소 찾은 김영환 충북지사[충북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김영환 충북지사의 설익은 인사가 결국 사달이 났다. 최근 호화연수 의혹을 받은 김용수 충북도립대 총장이 해임됐다. 이는 윤석규 충북인재교육평생원장이 지난해 8월 비리 혐의로 중도 사퇴한지 1년이 채 되지 않아서 발생한 인사 참사라는 점에서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이들 인사 참사는 공공기관의 투명성과 도덕성을 심각하게 훼손한 사건이라 할 수 있다. 모두 임용 과정에서부터 잡음이 일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두 번의 참모진 중도 낙마는 김 지사의 선피아(선거마피아) 또는 보은 인사 스타일을 가리킨다.

이번 인사 참사가 심각한 이유는 단순한 인사 실패가 아니라는 점이다. 두 기관장의 개인적 일탈보다 부실 혹은 안일한 인사 검증에서의 예견된 일이라고 부인하기 어렵다. 김 전 총장은 애초 공모에서 탈락했지만 이후 재공모를 통해 임용됐다. 윤 전 원장 역시 다수의 비리 및 소송에 연루됐지만 인사 검증 과정에서 이 같은 부분이 걸러지지 않았다. 애초부터 ‘답정너 검증’이 진행됐다고 볼 수밖에 없다.

공공기관의 신뢰는 인사에서 나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 잇따른 인사 참사는 도정에 대한 불신을 넘어 충북도 인사에 대한 투명성과 신뢰도에 대한 타격이 불가피하게 됐다. 특히 이미 다수의 건에 대한 수사 진행을 인사시스템이 잡아내지 못한 점은 구조적 문제가 있음도 시사한다. 어찌됐든 기관장 인사를 위한 여러 요인 중 능력, 도덕성 보다 인맥이 중시됐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인사 결과의 책임은 최종 결정권자인 지사를 향하기 마련이다. 김 지사는 연이은 인사 참사에 대한 충북도민의 우려를 엄중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명확한 사과와 재발방지 대책 마련은 당연하다. 특히 지금은 이재명 대통령의 새 정부가 갓 출범한 시기다. 충북의 100년 대계를 좌우할 굵직한 사업을 준비해야 하고, 얼어붙은 경기로 힘겨워하는 소상공인들이 다시 뛸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야 할 때다. 그러기 위해서는 도정에도 힘이 실려야 한다. 김 지사의 진솔한 사과가 우선 선행돼야함은 물론이다. 충북도민의 신뢰를 얻지 못하면 원활한 도정 수행은 꿈도 못 꿀 일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