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청양군 복지정책 시리즈
글 싣는 순서
1. 고령자의 삶에 집을 더하다
2. 모두를 위한 복지 인프라, 청양의 미래를 짓다
3. 돌봄이 필요한 모두를 위한 ‘청양형 다-돌봄’
4. 아이 키우기 좋은 농촌, 청양의 ‘24시간 보육 혁신’
5. 포용의 복지, 청소년·여성·가족 모두의 공간을 만들다

3. 돌봄이 필요한 모두를 위한 ‘청양형 다-돌봄’
가족·건강 등 아우르는 돌봄 서비스 제공
5년간 341억원 투입 시스템 고도화 병행
공동체 기반 포용복지, 혁신적 실험 주목

청양군청 전경 [청양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청양군청 전경 [청양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충청투데이 윤양수 기자] “농촌복지, 청양이 새 기준이 됩니다”

청양군이 사람 중심의 촘촘한 복지망을 구축하며 농촌 복지의 새로운 기준을 세우고 있다.

고령자 돌봄, 아동 보육, 청소년 지원, 가족서비스 등 생애 전 주기를 아우르는 복지정책이 현장에서 실질적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번 기획은 청양군이 실천하고 있는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복지’의 현재와 미래를 함께 들여다본다. <편집자주>

3. 돌봄이 필요한 모두를 위한 ‘청양형 다-돌봄’

- 공동체 기반 포용복지, 농촌 돌봄의 혁신 실험

청양군이 추진하는 ‘청양형 다-돌봄’ 정책이 본격적인 실행 단계에 들어서고 있다. 가족, 건강, 먹거리, 공동체 분야를 아우르는 돌봄 고도화 전략은 농촌의 복지 사각지대를 줄이는 새로운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군은 2022년부터 농림축산식품부와 체결한 농촌협약을 통해 지역 맞춤형 복지사업을 구상해 왔다. 5년간 341억 원이 투입되는 청양권 농촌개발사업과 연계해 다-돌봄 시스템 고도화가 병행되고 있으며 7월에는 ‘청양형 다-돌봄’ 선포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정책은 단순한 돌봄 서비스 제공을 넘어 마을 단위의 공동체 기능을 복원하고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다양한 연령과 계층을 포용하는 복지 서비스가 지역 내에서 자연스럽게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가족 돌봄 분야에서는 고령자복지주택을 중심으로 통합돌봄센터가 운영되고 있으며 청양행복누리센터와 정산 다목적복지관, 청소년 복합센터 등과 연계해 생애주기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건강 돌봄은 ‘찾아가는 의료원’, ‘농촌왕진버스’ 등 이동형 진료 서비스와 함께 스마트TV·웹캠을 활용한 건강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했다. 원격 건강진단 설비도 확대돼 의료접근성이 낮은 지역 어르신들의 건강관리 사각지대를 보완하고 있다.

먹거리 돌봄은 경로당 무상급식 사업이 중심이다. 2025년까지 50개소로 확대 시행되며 고향사랑기부제를 통한 재원 마련도 함께 추진 중이다. 더불어 건강먹거리 제조시설 리모델링, 공동식사 재료 꾸러미 제공 등 식생활 복지도 강화되고 있다.

공동체 돌봄 영역에서는 마을 단위의 거점시설과 돌봄버스, 민원처리 차량 운영 등으로 물리적 접근성을 보완하고 있으며 마을돌보미 양성과 활동 지원을 통해 지역 내 자생적 돌봄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청양군은 오는 8월부터 ‘다-돌봄 고도화 용역’을 착수해 사업의 정착 가능성과 확장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특히 각 분야별 복지 수요와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해 종합적인 평가 모델도 함께 구축할 방침이다. 군 관계자는 “청양형 다-돌봄은 고령화와 인구감소 문제를 돌봄을 통해 대응하는 장기 전략”이라며 “단순히 서비스를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주민 스스로 돌보는 공동체 기반을 복원하겠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청양군이 제시한 ‘돌봄의 지역화’ 전략이 새로운 농촌복지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윤양수 기자 root5858@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