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30일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을 듣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30일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을 듣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윤소리·최광현 기자]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으로 지명된 이진숙 후보자가 30일 첫 출근과 함께 새 정부 교육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이 후보자는 이날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서울대 10개 만들기’는 사립대와 동반 성장하는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통해 수도권 중심의 지역불균형 해소와 지역대학에서도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학생 1인당 교육비를 서울대 수준까지 집중 투자하겠다는 것이다.

앞서 이 후보자는 지난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 캠프의 서울대 10개 만들기 추진위원장을 맡아 지역거점대학 강화와 수도권 집중 완화를 통한 교육혁신 비전을 제시한 바 있다.

이 후보자는 이날 “서울대 10개 만들기는 거점국립대뿐만 아니라 사립대와의 동반 성장 구조로 만들어져야 한다”며 “현장 의견을 수렴해 신중한 방법론을 세워야 할 정책”이라고 설명했다.

전 정부의 AI 디지털교과서 정책에 대해서는 “현장에서 많은 혼란이 야기되고 있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며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겠다”고 말했다.

다만 AI 교과서의 교육적·정책적 효과를 높일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유·초등 분야 전문성 부족 지적에는 “교육은 유아부터 고등까지 연속적인 생애 전주기 시스템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해당 분야 전문가와 현장 의견을 적극 수렴하겠다”고 응답했다.

등록금 인상 문제에 대해서는 “대학 총장 시절 재정위기를 직접 겪었다”며 “대학 재정 어려움을 방치할 수는 없지만, 등록금 인상 외 다른 방법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답했다.

사교육 문제는 공교육 신뢰도를 높이고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통해 입시경쟁을 완화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지난해 2월부터 파행을 빚고 있는 의대교육 정상화 방안에 대해서는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관련 의견을 들어본 후 더 생각할 기회를 가져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윤소리·최광현 기자 tto2504@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